이코노믹 허스토리 - 왜 경제학의 절반은 사라졌는가?
이디스 카이퍼 지음, 조민호 옮김 / 서울경제신문사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페미니스트 경제학자 이디스 카이퍼는 '경제'가 '젠더'와 같은 사회적 구성물이라고 주장한다. 경제와 경제학을 구분하고, 주류 경제학은 남성 중심의 경제학이라고 비판한다. 경제학 이론과 문헌에서 여성의 목소리가 배제된 이유는 여성 경제 저술가와 여성 경제학자들이 없어서가 아니라, 주류 경제학이 여성의 담론을 일방적으로 무시했기 때문이다. 심지어 그동안 이른바 '여성 문제'에 대해 경제학자가 내놓은 답변들마저도 여성 저술가와 경제학자의 목소리는 빠져 있었다. 그래서 저자는 1700년부터 2020년까지 남성 중심의 경제학계에서 철저히 무시당하고 잊힌 여성 경제 저술가와 여성 경제학자들을 연대순으로 조망한다. 이들의 경제 담론은 재산, 권력, 교육, 생산, 분배, 소비, 정부 정책 등 다양한 주제를 넘나든다.

주류 경제학은 사적 영역 대 공적 영역, 자연 대 사회(문화), 저축 대 투자, 여성성 대 남성성이라는 이분법에 기초해 주요 경제 행위 주체를 공적 영역, 사회(문화), 투자, 남성성에 방점을 찍는 '합리적 경제인'으로 설정했다. 역으로 사적 영역, 자연, 저축, 여성성의 가계관리 혹은 가정경제는 무시되거나 경제학의 변두리로 밀려났다. 그동안 경제의 틀을 규정하는 경제사상사는 애덤 스미스, 카를 마르크스, 존 메이너드 케인스 같은 서구의 남성 경제학자 중심의 역사였다. 주류 경제학은 사익 추구, 재화 생산, 경제 성장에 초점을 맞추면서 중산층 남성의 이익만 반영했다. 역으로 중산층 여성은 노동 시장에서 배제되고 경제적으로 의존하는 삶을 살아야 했다.

"그렇게 정치경제학은 가정의 성 분할을 당연시하고 이 분리된 영역 이데올로기를 바탕으로 남성의 영역에 집중함으로써 재화의 생산 및 분배 문제를 '경제'로 귀속시켰다. 이제 정치경제학은 서양 중산층 백인 남성을 중심에 둔 채 서로 평등한 남성 노동자의 노동과 남성들 사이의 교환에 초점을 맞추면서, 여성과 아동을 경제에서 배제하고 흑인을 '타자'로 묘사하는 언어를 사용했다."(93쪽)

반면에 페미니즘 경제학은 젠더와 인종, 자연환경 보전을 함께 고려한다. 이들은 경제학을 가부장적 헤게모니에 기초한 하나의 사회적 구성물로 인식하고 여성, 노동자, 노예에 대한 경제적 탈취를 비판한다. 페미니스트 입장에서 본다면, 19세기 산업 자본주의는 '경제 기사도'에 기반한 성별간 소득 재분배 모델이 구축된 시기다.

"여성 관점에서 보자면 초기 산업화는 가부장적 권력에 기반한 가계 모델이 남성 임금 노동 모델, 즉 아내의 경제적 의존과 남편의 '관용', '자애' 또는 '기사도'를 토대로 한 모델로 전환하는 과정이었다." (235쪽)

페미니즘 경제학은 여성, 아동, 식민지 원주민, 유색인종, 자연 환경과 관련된 비용과 손해를 고려한다. 가령 1970년대와 80년대 페미니스트 경제학자들은 '가사 노동', '가계 생산', '무임금 노동', '돌봄 노동'의 가치와 역할을 이론화했다. 마리아로사 달라 코스타, 셀마 제임스, 실비아 페더리치와 같은 이들은 무임금 가계 생산에 대가를 지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남성과 여성의 임금 격차 문제를 비롯해 '동일노동 동일임금' 개념과 관련된 논쟁은 오늘날까지도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