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는 각자의 세계가 된다 - 뇌과학과 신경과학이 밝혀낸 생후배선의 비밀
데이비드 이글먼 지음, 김승욱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2년 12월
평점 :
"누구나 원한다면 자기 뇌를 스스로 조각할 수 있다." 신경과학자 산티아고 라몬 이 카할의 말이다. 우리 뇌는 유전자와 환경의 합작품이다. 한때 뇌를 컴퓨터에 비유한 적이 있었다. 특히 정보처리과정을 중시하는 정보과학 분야에서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와 같은 컴퓨터 은유가 유행했었는데, 이는 환경(경험)보다 유전자(설계도) 쪽에 무게중심을 실어준다. 가령 천재는 날때부터 슈퍼컴퓨터급인 것이다. 반면, 신경과학의 뇌가소성의 발견은 유전자보다도 환경쪽에 더 큰 무게를 실어주고 있다.
뇌과학자 데이비드 이글먼은 『우리는 각자의 세계가 된다』(RHK,2022)에서 유전자보다 환경과 경험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우리 DNA는 청사진이 아니다. 쇼를 시작하는 첫 번째 도미노일 뿐이다." 그리고 한때 유행하던 컴퓨터 은유나 뇌 가소성 은유의 한계와 문제점을 지적한다. 가령, 뇌 가소성(혹은 신경 가소성)은 플라스틱처럼 한번 형태가 잡히면 영원히 유지된다는 오해를 불러일으킨다. 저자는 뇌의 특징으로 '라이브웨어'란 용어와 '생후배선의 원칙'을 내세워 인간 뇌의 변화무쌍한 가능성을 더욱 강조하고 있다. 인간의 뇌는 "입력되는 정보에 맞춰 스스로를 최적화하고 경험을 통해 학습하며 자신의 회로를 역동적으로 형성하는 장치"다. 즉, 뇌는 생후배선의 원리를 따라 평생에 걸쳐 스스로를 바꿔나가는 라이브웨어다.
뇌는 역동적이고 유동적인 시스템이다. 뇌의 지도는 설계도가 아니라 삶의 경험에 따라 좌우된다. 아인슈타인과 비슷한 유전자를 가지고 태어난다고 해도 모두가 아인슈타인이 될 수는 없는 노릇이다. 문화, 경제적 환경, 가정 등에서의 긍정적인 피드백이 천양지차이기 때문이다. 뇌가 발달하려면 세상과의 상호작용이 필수적이다. 발달단계에 맞게끔 적당한 시기에 적절한 정보가 제공되어야 하는데, 특히 어린 시절의 적절한 사회화와 상호작용이 매우 중요하다. 어린 시절 제대로 된 부모의 돌봄을 받지 못하고 고립되어 극도의 사회적 결핍을 겪은 이들의 뇌는 정상적인 발달경로에서 탈선한다. 2005년 플로리다에서 발견된 야생아 대니엘 크로켓의 경우처럼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