습지, 새들의 안부를 묻다 - 교하들판 새들의 이야기
황헌만 지음 / 소동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습지는 생명을 키우는 보금자리다. '천고일월명, 지후초목생', 하늘이 높으니 해와 달이 밝고, 땅이 두터우니 풀과 나무가 자란다. 육지와 물을 이어주는 중간단계의 생태적 환경 특성 덕분에, 습지는 자연의 역동성을 파노라마처럼 다채롭게 선보인다. 사진작가 황헌만의 생태사진집《습지, 새들의 안부를 묻다》(소동, 2022)는 습지 생태의 화려한 파노라마를 다양한 앵글로 담아냈다. 

2008년부터 15년 가까이 사진작가의 눈으로 지켜본 공릉천 하류, 교하강과 교하들판의 풍광을 기록하고 있는데, 춘하추동 사계절에 따른 습지의 변화를 보고 있자니, '춘래리화백, 하지수엽청, 추량황국발, 동한백설래'란 싯구가 절로 떠오른다. 봄이 오니 배꽃은 희고, 여름이 되니 나뭇잎이 푸르다. 가을은 서늘하니 노란 국화가 피고, 겨울은 차가우니 흰 눈이 내린다. 

사진집은 교하습지의 '종 다양성'과 생명의 역동성을 한눈에 보여주고, 무분별한 개발로 인해 훼손되고 있는 습지 생태계의 가까운 미래에 경종을 울린다. '강산만고주, 인물백년빈'이라 했다. 강산은 만고의 주인이요, 사람은 백년의 손님에 지나지 않음을 정녕 잊었단 말인가. 

작가는 농부들의 바쁜 농사 일은 물론 텃새, 철새, 나그네새, 길잃은새 등 다양한 새들의 자취를 정성스레 기록하고 있다. 습지의 자연 생태를 무대로 삼아, 남한과 북한을 자유로이 오가는 새들의 모습에서 얼핏 '소요유'의 경지를 엿보기도 한다. 천연기념물인 재두루미, 황조롱이, 큰고니, 개리를 비롯해 60종이 넘는 새들이 카메라에 담겼다. 그밖에도 강을 건너는 고라니, 병 든 너구리 등이 무명의 조연처럼 스쳐 지나간다. 아, 습지의 버드나무와 갈대는 물과 바람과 함께 흔들리고, '풍구군비안, 월송독거주', 바람은 기러기 떼를 몰고 가고, 달은 외로운 배를 전송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