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옛 문헌 속 고구려 사람들
이명학 지음 / 성균관대학교출판부 / 2005년 2월
평점 :
‘옛 문헌 속 고구려 사람들’은 우리에게 친숙한 인물부터 그렇지 못한 인물들까지 다양한 고구려 사람들이 옛 문헌 속에서 어떻게 비춰졌는가를 다루고 있는 책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책은 우리에게 주는 것보다 그 뒤 더 많은 것을 독자 스스로의 사고를 통해 얻어가길 바라고 있는 책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마치 열전과 같은 형식으로 각각의 인물에 대한 이야기를 어떤 이는 생애 전반에 걸쳐서 어떤 이는 몇 가지 에피소드를 중심으로 전개해 나가고 있다. 작가는 서문에서 이 책을 통해 우리나라 사람들이 ‘고구려’를 통해 손쉽게 떠올리는 강인함에 대해 다시 논해보고 싶다고 말하고 있다. 동북공정이후 우리는 고구려에 새삼 주목하게 되었다.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이후, 고구려는 사라진 환영처럼 광활한 만주대륙, 광개토대왕등의 몇가지 이미지로만 남겨져 있을 뿐이었다. 그런데 고구려를 중국의 변방민족으로 하여 그들의 역사로 편입시키려하는 동북공정의 거대한 음모가 드러나자 우리나라에서도 시급한 대응책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들은 그들나름의 정치적이고 경제적인 이유로 인해 고구려 역사를 편입시키려 하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우리의 역사를 지키기 위해 어떻게 해야되느냐에 따라서 많은 이들에게 고구려의 역사를 바로 알게하고 자부심을 갖게해주는 것이 급선무라는 의견이 주류를 이루게 되었다. 그이후 고구려를 소재로한 다양한 책이 쓰여지고 드라마가 만들어지며 사회적 분위기에 부합하여 큰 호응을 얻은 것이 사실이며 그 외 학계와 문화계에서도 계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 책도 그러한 노력의 일환이라고 생각된다. 고구려 사람들의 이야기를 다루면서 그들의 삶과 정신세계를 조금이나마 이해해 보고자 하는 것이 작자의 의도였고 읽다보니 이해가 잘 안되거나 결말이 없거나 혹은 기록하는데 있어서 편향된 관점이 있다는 생각이 드는 이야기도 있었으나 나는 작자의 이런 의도에 맞추어 책을 읽어나가려고 노력해 보았다.
주몽, 유리, 부분노, 해명, 괴유, 을두지, 추발소, 호동, 두로, 고복장, 명림답부, 을파소, 계수, 밀우.유유, 달가, 을불, 창조리, 도림, 온달, 을지문덕, 강이식, 안시성주, 천개소문, 천남생, 천헌성, 고림, 모용운, 고선지, 왕모중, 왕사례, 이정기, 이납, 이사고, 이사도등 총 서른네명의 인물이야기를 주로 삼국사기와 당서에 실린 내용을 토대로 펼쳐져 있는데 나는 그중에 몇가지 흥미로운 것들만 다시 소개하고자 한다.
그 첫번째가 을파소였는데 임금이 자신에게 벼슬을 내리는 상황에서 그 직위가 큰일을 하기엔 부족함이 있다고 생각하여 '현량한 사람을 선발하여 더 높은 관직을 주어 큰 일을 이루라'고 말하여 은근히 자신의 생각을 왕에게 전달하여 결국 임금이 원하는대로 소신껏 현명한 정치를 하며 명 재상으로 이름을 남기게 된다. 이런 그의 모습에서 자신에게 맞는 옷과 그렇지 않은 것, 또한 현실적으로 작은 관직에서 다 못이룰 이를 짐작하고 큰 관직을 얻어내어 뜻을 펼치는 모습에서 사양과 배려, 겸손만을 조상들의 모습에서 발견하는 것이 아니라 당당하고 현실적이며 자기주장을 할줄 아는 모습또한 새로이 발견할 수 있어서 좋았다.두번째는 호동왕자의 이야기 였는데 어릴적에 동화책에서 읽었던 아름다운 이야기 라기보다는 역사책에서 다루어진 것이라 그런지 낙랑공주에 대한 매정한 모습이 약간은 얄밉기도 했다. 부모에게는 서로 헐뜯게 되어 걱정끼치는 것을 염려하여 계모의 악행을 묻은채 자살하였으면서 자신에 대한 낙랑공주의 마음과 그녀가 부모를 배반하면서 느꼈을 죄책감에 대해서는 무책임한 그의 모습에 현대여성들이라면 짐짓 나와같은 반응을 할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마지막으로 연개소문(책에서는 천개소문으로 다루어짐)의 이야기와 같은 것들은 평소 중국의 침입에 맞서서 나라를 지킨 영웅으로 알고있던 바와다르게 평소에도 잔악하고 포악하였고 백여명을 살해하고 왕을 토막살인하는등의 잔악한 면이 그려져 있었다. 이런 일방적인 시각의 서술을 보고 이 글은 중국의 역사서에서 따온 것인가 보다 하였는데 놀랍게도 삼국사기의 내용이었다. 이는 아마 삼국사기가 신라인의 관점에서 씌여진 역사서이기 때문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며 인물에 대한 전기는 꽤나 객관적인 편에 속하는 데도 불구하고 그 서술자의 입장과 시대배경에 따라 몇십년 몇백년이 지나며 계속 변화하는 것을 보고 다시한번 문학의 상대성을 느낄수 있었다.
과거의 역사를 통해 그당시를 비추어 보는 것도 중요하지만 결국 이 모든것이 미래를 위한 일들이라는 데에는 이제 의심의 여지가 없다. '옛 문헌속 고구려 사람들'을 통해 나는 당당하고 진취적인 모습의 고구려인과 그들의 후손으로써 내가 가야할 길들을 되돌아 볼 수 있었던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