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비전무예 호패술 - 협성문화재단 2017 NEW BOOK 프로젝트
도기현 지음 / 호밀밭 / 2017년 12월
평점 :
품절


조선의 비전무예 호패술

 

 

호패는 과거 신분증이고, 호패술을 이런 호패를 이용한 무술이다. 조선시대의 일반적인 호패와는 모양새가 조금 다르니 그건 참고해야겠다. 호패 구멍에 줄을 끼워 넣은 모습을 보면 무기로 충분하다는 걸 알 수 있겠다. 이런 호패는 단봉과 쌍절곤의 장점이 결합된 무기다. 제대로 사용하면 그 위력의 대단함을 알 수 있겠다. 회전력과 파괴력이 좋고, 휴대성은 더 좋다.

설명이 상세하고, 그림이 많이 등장해서 초보자들이 읽기 좋다.

호패술은 비밀무예이기도 하다. 조선시대는 무를 억압하고 문을 숭상한, 숭문사상의 시기였다. 일반인들은 무기를 들고 다니다가 걸리면 크게 경을 칠 수도 있었다. 그런 판국에 호패는 참으로 유용한 무기가 될 수도 있었다.

하늘 아래 새로운 것은 없다. 이런 이유로 호패술이 중국 북파무술에서 사용되는 무기라는 오해를 받기도 한다. 그러나 호패술은 우리나라 고유한 민족무술이지 않을까? 적어도 저자는 그렇게 생각하고 있다.

호패술이기에 기본적으로 호패에 대한 설명이 많다. 그리고 그 호패에 대해서 알면서 과거에 대한 공부도 할 수 있다. 과거의 비전무술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고 있다고 생각하는데, 비전무술 수련은 심신을 건강하게 할 수 있는 길이기도 하다. 그러면서 조상들의 가르침을 이어갈 수 있으니 참으로 좋을 길이라고 생각한다.

호패술에 대한 전반적인 소개가 끝나고 난 뒤 이어지는 배움의 시간은 따라하기 편해 보인다. 기본예법을 배워 몸과 마음을 편안하게 하는 건, 우리 민족의 전통적인 배례법이기도 하다.

가장 보기 편하고 좋았던 부분은 보법이었다. 온 몸의 힘을 빼고 자연스럽게 한 상태에서 움직일 수 있다면 보법의 고수가 될 수 있지 않을까? 물론 그때마다 달라서 힘을 주고 빼야 하겠지만 말이다.

호패 자체도 위력적인 무기가 될 수 있겠지만 줄이 있어서 여려 가지 기술이 가능하다. 줄을 가지고 잡고 내려친다든가, 잡고 올려치면 상상 이상의 변화와 파괴력을 가져올 수 있다고 본다. 물론 이렇게 되기까지 무수한 노력이 필요하겠다. 단순해 보이는 그 안에 많은 변화가 있고, 그걸 익숙하게 수련하려면 많은 피땀이 요구된다고 본다.

무릇 고수가 되기 위해서는 피땀을 흘려야 하는 법이다.

흐흐흐! 언제 그런 날이 오기는 할까? 책을 보면서 차분하게 따라하면 가능할까?

피땀을 흘리면 가능할 수도 있겠다. 요즘 들어 많이 게을러지고 살도 쪘는데, 책과 함께 수련하는 시간을 가졌으면 좋게다고 생각한다.

우리 민족의 고유한 문화로 발전을 할 가능성도 보인다. 호패술은 더 배우고자 하는 사람은 호패술 홈페이지를 방문하라고 권유하고 있다. 도구를 구입할 수도 있고, 궁금한 질문을 받는다고도 하니 좋아 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