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할린 - 얼어붙은 섬에 뿌리내린 한인의 역사와 삶의 기록
최상구 지음 / 미디어일다 / 2015년 1월
평점 :
절판


사할린

 

얼어붙은 섬에 뿌리내린 한인의 역사와 삶의 기록.

사할린하면 추운 대지와 일제 강점기 강제징용된 동포들에 대한 생각이 떠오른다. 어렴풋하게 들은 기억만 있을 뿐 사할린과 동포들에 대해서 아는 바가 거의 전무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일제강점기 이후 칠십여 년의 세월이 흘렀다.

먹을 것이 없어 못 살고 가난하던 대한민국이 풍요로워졌다.

가난한 나라와 태풍, 지진 등의 피해를 입은 나라에 해외원조를 한다고 하는데 사할린과 동포들에 대해서는 어떤 관심을 가지고 있을까?

대한민국은 만주벌판과 국민들을 잃어버렸다.

언젠가 회복해야 할 고토 만주와 강제로 외국에 나간 동포들에게 따뜻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지 않다. 국가의 무관심으로 인해 동포들의 슬프고 가난한 삶이 더욱 각박해져가고 있다고 한다.

대한민국의 입장에서 볼 때 사할린에 강제징용된 동포들의 시계는 멈춰져 있다.

그들은 여전히 대한민국의 따뜻한 손길을 기다리고 있다.

소련국적을 포기하면서까지 기다리고 있는 한인들에게 보다 많은 지원을 해줘야 한다고 본다.

북한에서 넘어오는 귀순자들에게 지원금을 주면서 사할린 동포들에게는 왜 무관심한 것인가?

국가는 땅과 국민을 외면해서는 안 된다. 가장 기본적인 걸 외면한다면 국가의 존재가치가 없다.

정부의 귀환정책이 한인 귀향을 가로막고 있다니 참으로 어처구니가 없다.

미국은 6. 25 전쟁때 유골까지 송환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대한민국은 사할린 한인의 무덤들을 방치하고 있다.

지원할 수 있는 부분이 있다면 살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것이 대한민국이 힘들고 어려울 때 사할린에서 눈물 흘렸을 분들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다.

지옥이었던 사할린의 삶을 지금이라도 따뜻해질 수 있도록 보듬어 안아야 한다.

북한에만 이산가족이 있는 것이 아니다. 사할린에도 이산가족이 있다. 왜 외면하나?

대한민국의 해외동포에 대한 정책을 다시금 제고해야만 하지 않을까?

우리나라가 자랑스러워질 수 있도록 아프고 힘든 삶을 사는 사람들에게 따뜻한 손길을 내밀어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