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자 한방진료
이와사키 코우.타카야마 신 지음, 권승원 옮김, 이와타 켄타로 감수 / 청홍(지상사) / 201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령자 한방진료

 

흔들리는 것은 내가 아니다. 그저 나이가 들어가고 있을 뿐이다. 중년이 되면서 몸 구석구석에서 아파다는 신호를 보내오고는 한다. 양방에서 즉각적으로 치료를 받는 편인데 한방에서 은근히 체질개선을 하고 싶다는 생각을 할 때가 많다. 침을 맞고, 따뜻한 뜸을 하면서, 한약을 먹으면 몸의 체질이 미세하게 개선되고 있다는 느낌을 종종 받는다. 전통의학! 한의학에 대해서 여러 가지 말들이 많지만 좋은 부분이 있는 건 분명 사실이다.

한의학은 중국에서 시작되었고 아시아권으로 퍼져나갔다. 서양의학의 대척점에 서있는 동양의학인 것이다. 그리고 동양의학은 각각의 나라에서 꽃을 피우던 시기가 있었다. 서양의학에 밀려 축소되는 시기를 거치기도 했지만 지금은 자신의 위치를 점차 공고히 하려는 것처럼 보여진다. 물론 이건 우리나라에서 보고 느낀 점이다.

한방진료는 개인에게 가장 적절한 치료법들이 있다. 정형화된 답이 없고 때와 장소, 그리고 사람 등에 따라 변화한다. 절대적인 답이 없기에 환자들을 대하는 한의사들은 많은 공부를 하고 있고, 이 책은 그런 산물 가운데 하나이다.

변비, 치매, 감기 등 여러 가지 질병들에 대한 치료법들을 기술하고 있다. 겨울이 오면 감기를 몇 번씩이나 걸리는 체질이다. 관심이 가는 부분을 더욱 적극적으로 읽는 편은 당연하다. 책을 접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관심 가는 부분을 찾을 수 있을 정도로 방대한 분야를 이야기하고 있다.

고령자 한방진료는 심도 있게 한의학에 대해서 파고 들어간 책이라고 느꼈다. 과학적으로 한의학의 우수성을 설명하고 있고, 그에 대한 근거를 하나둘씩 열거하고 있다. 그저 전통의학이라고만 생각하고 있던 한의학에도 알고 보면 과학적인 근거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런 과학적인 접근은 한의학이 어디로 나아가야 할지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기도 하겠다.

물론 이런 접근법에 대해 독자로서 지대한 흥미를 가지고 있는 건 사실이다. 그렇지만 학문적으로 깊숙하게 접근하라고 한다면 솔직히 머리가 아프다. 한의학을 발전시키기 위해서 한의사들과 과학자들이 오늘도 열심히 노력하고 있다는 사실을 잘 알았다.

나름 편하고 친숙하다는 의미로 한의학을 접하고 있는데, 책을 보면서 한의학의 우수성에 대해서 조금 더 이해하게 됐다. 고령자 한방진료는 한방진료에 대해서 독자들에게 아주 친절하면서 과학적으로 알려주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