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선비 당쟁사 - 사림의 등장에서 세도정치까지, 선비들의 권력투쟁사로 다시 읽는 조선 역사
이덕일 지음 / 인문서원 / 2018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조선선비 당쟁사

 

방대한 자료를 바탕으로 도도하게 휘몰아치는 조선 역사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깔끔하면서도 정갈한 설명은 복잡하게 얽혀 있는 조선 정치의 이야기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해준다. 조선 시대의 정치는 아직까지 우리나라 현실에 얽혀 있다고 본다. 붕당, 다당제, 분당 등의 이야기는 국회와 정치판에 비일비재하게 일어나고 있다.

이런 정치판 이야기는 국가가 나아갈 방향을 옳은 쪽으로 좋게 작용을 해야 정상이다. 하지만 언제부터인가 반대를 위한 반대, 그리고 사리사욕과 권력 다툼, 권력 장악 등 으로 흘러갈 때가 많다.

이런 일은 조선시대에 참으로 많이 벌어졌다.

조선시대는 참으로 좋은 제도가 많았고, 그를 제대로 이용할 수도 있었다. 그러나 훈구파와 사림파로 대립하던 선비들은 소위 피 터지는 다툼을 벌였다. 열세였던 사림파가 정권을 잡으면서 사색당쟁이라는 찬란한 권력 다툼을 펼쳤다. 서인과 동인 등 사대부들의 치열한 권력 장악 싸움은 드라마와 영화 등에서 자주 등장을 한다. 그리고 이런 이야기들에 사람들이 열광을 하고는 한다. ? 그만큼 인간의 욕망을 자극하기 때문이겠다.

책에서는 이런 욕망에 대해서 객관적으로 풀어서 알려주고 있고, 조선의 정치와 인물 계보 등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해놓고 있다. 이는 단순히 조선시대에 벌어졌던 일을 알려주는 걸로 멈추지 않고 현실과 미래에 대해서 생각할 거리를 던져주는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역사는 상당히 많이 혼탁해져 있다. 많은 이야기들이 있어서 어느 쪽이 옳고 그른지 판단을 내리기 어려울 때가 많다. 이럴 때일수록 조금 더 이런 책들이 많이 출간되어 사람들의 눈높이를 맞춰주고, 또 옳은 역사관을 가질 수 있도록 해주면 좋다.

단순히 잘못되었다고 해서 모든 걸 비난해서는 안 된다.

조선선비 당쟁사는 좋은 취지에서 벌어졌다. 서로 싸우기 위함이 아니라 국가가 나아갈 방향에 대한 이야기를 논의하고, 토론하면서 결정하는 것이다. 민주주의에서 국회가 하는 일도 마찬가지겠다. 조선시대 정치는 분명 선진적인 면이 많았다. 다만 인간의 욕망과 탐욕이 그런 부분을 많이 잡아먹었다는 사실이 안타까울 뿐이다.

집권한 사림파는 공존을 받아들이지 않고 독존을 선택했다.

사화들의 이야기를 살피다 보면 그 안에는 인간들의 치열한 삶이 녹아 있다.

준비되어 있던 현실적인 왕 연산군도 사회에 붙들려서 짧게 삶을 마감하고 말았다.

당쟁은 선비들 뿐만 아니라 왕까지 휩쓸려서 죽어나가는 무서운 다툼이다.

이런 다툼과 그로 인한 잘못은 두고두고 아픔으로 이어진다.

독존한다는 건 인간의 탐욕이면서 본질적인 욕망이지만 동시에 한계를 표출하게 만든다.

이 한계를 벗어나기 위해서는 과거의 잘못된 부분을 돌이켜보면서 배워야겠다.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게 해주는 조선시대 이야기들을 보면서 오랜만에 역사를 제대로 돌아본 느낌을 받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