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이스 보이 - 2018년 제14회 세계문학상 대상 수상작
박형근 지음 / 나무옆의자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페이스 보이

 

우주에 올라갔다가 내려온 한국인 이야기라고 하면 될까?

단순하게 표현하면 그렇다. 그런데 내면을 살펴보면 양파처럼 수많은 이야기들로 꽉꽉 들어 차있다. 외계종족과 만나 내면의 이야기를 들여다 볼 수 있는 부분에서는 과거 어린 시절과 성장의 이야기들이 넘쳐 난다. 살아오면서 사람들이 모두 느끼거나 생각해 봤던 공통적인 내용들이 많다. 사람들은 단지 많거나 적게 공감하며 느끼고 있을 내용들이다.

언어의 한계는 사고의 한계다. 이 부분은 많은 의미를 담고 있다. 그렇게 느낀다. 타자를 치다 보면 머릿속의 이야기를 제대로 끌어내지 못 한다고 느낄 때가 많다. 말할 수 없는 것에는 침묵해야 한다. ! 뇌를 마음대로 열람할 수 있는 외계인 종족이 있으면 어떨까? 책에는 그런 이야기가 나온다. 마음으로 주고받는 대화! 텔레파시, 이심전심 등 이런 부분이 있으면 인류는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을까? ! 결코 장담할 수 없겠다. 인간은 기본적으로 탐욕스런 존재이니까 말이다. 책에는 생각하고, 또 곱씹어야 할 내용들이 많다.

이 소설의 백미는 우주에서 귀환하고 난 뒤의 이야기라고 한다.

이 부분에서 폭발하는 부분이 있기는 하다.

우주에 갔다가 돌아온 사람들은 한때나마 수많은 사람들의 관심과 집중을 받게 된다.

과거 우리나라 최초의 우주인을 떠올리면 되겠다. 이런 부분들은 사람들의 호기심을 끌기에 충분해 보인다. 관심을 받으면서 살아간다는 건 어떤 느낌일까? 그렇지만 그 삶이 항상 좋아보이지는 않는다. 그리고 그런 삶을 이미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의 피곤한 이야기도 은근슬쩍 내비치고 있다. 아니, 대놓고 보여준다고 할까? 과거 국민요정이라고 불렸던 사람들도 망가져가고 있다. 풍자한 내용인 것 같기도 하고, 이런 사실이 있는 것 같기도 하고, 딱히 중요한 부분은 아니다. 단지 개인적으로 그렇게 느끼고, 생각했을 뿐이다.

조작된 리얼리티! 인생도 이렇게 되면 어떨까? 재미있는 상상이다.

중반부터 터진 재미와 호기심은 뒤로 갈수록 점점 더 폭발하는 분위기다.

마음먹은 대로 자유롭게 흘러갈 수 있는 인생이 좋을까? 아니면 조작되었다고 해도 인기가 많고 풍족한 삶이 좋을까? 어느 쪽에 서도 반대쪽이 좋아 보일 때가 있는 법이다. 남의 손에 들린 떡이 커 보이는 법이다.

스스로 즐기면서 만족해야 한다. 안분지족을 하지 못 한다면 어디에 있던 불만족한 법이다. 행복하다고 느끼는 건 객관적인 기준이 아닌 개인적인 만족에서부터 출발한다.

스페이스 보이는 생각할 거리도 많고, 재미도 있다.

sf 소설인줄 알았는데, 의외로 탐닉하고 성찰해야 할 내용들이 아주 많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