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 끝에 철학 - 쓸고 닦았더니 사유가 시작되었다
임성민 지음 / 웨일북 / 201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청소 끝의 철학

 

청소는 일상과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어린 시절에는 이런 청소와 연결된 일상에 대해서 무지했다고 봐야겠다. 제대로 청소한 적도 없고, 청소를 하면서도 왜 해야 하는지 잘 몰랐기 때문이겠다. 나이가 들고 스스로 방을 청소하고, 물건들을 정리하면서 청소와 철학에 대해서 어렴풋이나마 알게 됐다. 책을 읽기로 한 건 그런 청소 끝의 철학에 대해서 알고 싶기 때문이었다. 공감이 가는 이야기를 보면서 함께 즐기고 좋아하며, 내가 미처 몰랐던 이야기들을 살펴보려고 했다.

청소 끝의 철학은 일상생활과 삶의 이야기 등이 청소와 연결되어 있다는 걸 보여준다. 단순히 청소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것이 아닌 인생과 삶에 대해서 논하고 있다고 봤다. 그리고 그런 이야기를 보면서 좋았다. 책의 표지에 사유라는 표현이 있는데, 그 표현이 왜 들어갔는지 읽다 보면 이해할 수 있겠다.

책의 백미가 바로 그 사유라고 생각한다.

청소는 깨끗함과 더러움이 공존한다. 더러워진 실내를 치우면서 비워지는 걸 보고 마음이 시원해지거나 청량해지는 걸 느낄 때가 종종 있다. 구슬땀을 흘리면서 입가에 지어진 미소는 비워진 느낌에 좋은 감정을 받았기 때문이겠다. 이런 만족감은 객관적이 아닌 주관적인 감정이고, 그 소중함을 알기 위해서는 직접 청소의 소중함을 깨달아야 한다.

억지로 하는 청소에서 만족을 얻기란 지극히 어렵겠다.

청소는 채워진 걸 비우는 것이기도 하다. 그리고 이런 부분은 마음수련과도 연결되어 있고, 일상생활과도 자연스럽게 이어진다. 끝없이 채운다고 해도 만족을 못 하는 사람이 있고, 비우면서 만족하는 사람도 있다. 어디가 정답인지는 상황에 따라 다를 수도 있다. 하지만 만족하는 감정은 개인적으로 중요하다고 본다. 만족하면서 즐기고 웃으며 살고 싶기 때문이다.

비우면 결국 채우기 마련이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인생을 발견하고 나를 찾을 수 있다. 철학적인 이야기이기는 한데, 청소를 하면서 느낄 수도 있는 이야기다. 물론 못 찾기도 하겠지만.

이 책은 사유에 대해서 많은 부분을 할애하고 있다. 어려워보기도 하고, 생뚱맞을 때도 있어 보이지만 결국 모든 건 연결되어 있다. 모로 가도 결국 정상에 이어지는 셈이다. 철학적인 부분은 특히 그런 것 같다. 정답이라고 한 것이 오답이 되기도 하고, 오답이 때로 정답으로 등장할 때도 있다.

나의 기쁨과 슬픔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은 대부분의 경우 바로 나다.

! 좋은 말이다.

자신을 이해하여야 한다. 요즘 들어 우울증이나 공황 장애를 겪는 현대인들이 늘어나고 있는 건 자신을 이해하지 못 하고 거리감을 느끼고 있기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자신에게 관대하고 사랑을 해야 한다. 그리고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자신을 찾을 필요가 있다.

사유와 청소, 철학 등이 마구 넘실거리는 책에는 인생이라는 거대한 바다가 펼쳐져 있기도 하다.

책은 현대인들에게 아주 좋은 이야기를 해주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