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염소가 된 인간 - 나는 어떻게 인간의 삶으로부터 자유로워졌는가
토머스 트웨이츠 지음, 황성원 옮김 / 책세상 / 2017년 1월
평점 :
"염소가 된 인간" - 무엇이 저자를 절박하게 했을까?
책의 홍보물을 우연찮게 보았을 떄, 한참을 들여다 보았다.
도대체 이건 뭐란 말인가.
동물과 즐겁게 지내거나 동물과의 대화를 시도해보는 것도 아니고 직접 동물이 되어보겠다니.
더군다나 하필이면 염소.
염소에게 무슨 의미가 있다고?
더군다나 저자는 동물학자나 심리학자, 아니면 연예인쯤으로 생각했는데 전도유망한 디자이너라니.
책을 구입할 때는 내용의 관심과 충실함에 이끌리기 마련이지만, 이 책은 컨셉 하나만으로도 한번 읽어보고 싶다하는 생각이 들게 만든다.
어쩌면 저자는 디자이너가 아닌 마케터 또는 장사꾼이 아닐지.
나름 유명세를 누리다가 다시 백수의 늪에 빠져 새로운 모멘텀을 기다리고 있던 작가는 문득 코끼리가 되어보고 싶었다.
엉뚱한 창의성을 인정해주는 단체가 있었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는데 금전적인 문제는 해결된 상태.
그런데, 코끼리는 생각보다 디자인이나 메카닉 적으로 구현하기 어려웠고, 작가의 생각과도 많이 다르다는 사실에 절망하게 된다.
친구의 충고에 따라 한 점술가를 만나게 되고, 거기서 염소라는 동물과 맞닦드리게 된 것이다.
코끼리와 달리 친숙한 존재이고, 어쩌면 인간과의 교류가 가능할지도 모르는 염소로 되기로 마음 먹은 저자는 비로서 인간의 짐을 던지고 동물의 세계에서 살아가는 것에 대한 고찰을 시작할 수 있었다.
단순하게 생각했을 떄 탈바가지 하나 뒤짚어 쓰고 무리에 끼여 여러가지 자유로운 또는 혼자만의 착각 속에 자신의 프로젝트를 마치지 않을까 우려혀했지만, 사실 저자가 하나의 프로젝트로 염소가 되어가는 과정은 디자인적인 작품활동이라고도 할 수 있으며, 자기 자신에 대한 성찰, 어쩌면 떠나고 싶었던 인간과 인간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시각의 경험을 해보고자 했던 것은 아닐까 싶다.
우리가 얼마나 스스로들에게 스트레스를 주는 존재이며 우리가 살아가는 시스템이 그런한가.
하지만 자연 속에 사는 사람들은 우리는 그렇지 않다고 주장한다.
도시에 사는 사람들만 그런 것이라 혀를 끌끌 차며 안타까워 한다.
그런데 과연 그러한가.
도시의 답답한 매연을 맡는 이나 시골의 한적한 공기에서 숨쉬는 순박한 이들이나 숨을 쉬기 시작한 순간부터 모든 동물과 인간은 살아가는 것 자체에 스트레스와 어려움을 겪게 되는 것이고 어떻게 극복해나느냐에 따라 하루 하루의 생명을 연장받을 수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염소는?
염소가 되면 지긋지긋했던 인간의 고뇌와 고통을 벗어던질 수 있을까? 그들은 그렇게 살고 있었던가?
쉴새없이 새 풀을 찾아 이동하고 소화 한번 시키려면 오랜 시간 그저 바라만 보고 있어야 하는 그들에게는 고뇌의 시간 없이 생명을 연장하는 축복을 받았던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