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스의 탄생 - 전 세계 관리자들의 고민을 해결한 하버드 경영대 리더십 전략
린다 A. 힐 & 켄트 라인백 지음, 방영호 옮김 / 시드페이퍼 / 2012년 2월
평점 :
절판


보스의 탄생

 

 

 

직장생활 녹록치 않다.

학창시절, 대학교까지만 나오면 더 이상 공부는 하지 않아도 되겠지 라는 철 모르는 생각을 하고 고난의 행군을 계속했던 우리에게 IMF 이후의 직장생활이라는 것은 끝없는 전투의 행진이다.

야간자율학습을 하면서 쌓아왔던 체력은 야근에 무너지고, 학창시절 소홀했던 지식은 역습을 한다.

입사 1년차 때부터 영어 공부 좀 해야지.하는 헛된 공약이 팀장이 된 지금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더 문제는 갑자기 간부사원들은 영어성적표를 내야한다는 그룹의 지시사항.

그동안 장식품 정도로 생각했던 영어 앞에 무너지는 것이다.

하물며 업무와 직접 연관되는 리더쉽이야 기본 과정인 동시에 잘해도 본전치기인 분야가 되었다.

이러다보니 사실 회사업무에서 가장 중요한 리더쉽은 소리 빽치고 부하 직원들 갈구는 방법을 많이 안다는 것과 유사한 의미로 머릿속에 또아리를 틀게 된다.

 

하지만, 시대와 유행은 너무도 빨리 우리 곁을 스치고 지나가고 이젠 리더쉽 조차 책 혹은 특강을 통해 배워야만하는 공부가 되어 버렸다.

거의 매 해 리더쉽 교육에 참석하는 것 같다.

이 말은 뒤집어 보면 그만큼 올바른 리더쉽을 조직에 뿌리내리게 만드는 일이 어렵다는 이야기다.

 

보스의 탄생은 이런 상황에 비추어 효과적인 교보재가 될 수 있는 서적이다. 사실 리더쉽 책 이야기들을 몇 권 들쳐보면 핵심을 꽤뚫는 이야기는 항상 동일하다. 차별화되거나 미시적인 관점의 책을 제외하고는 3-4권 이상 읽는다는게 어쩌면 시간낭비일지도 모르겠다.

보스의 탄생이 괜찮은 책이라는 이야기도 전반적인 리더쉽에 대한 내용을 잘 정리했다는 의견이지 다른 책과 다른 새롭거나 창의적인 방법을 제시하지는 못한다는 이야기다.

 

'유능한 관리자의 3대 원칙'

 

- 자신을 관리하라

- 인맥을 관리하라

- 팀을 관리하라

 

이 내용은 어느 책을 뒤적거려 봐도 공통적으로 나오는 대목이다.

직원들과의 중요한 부분은 업무적인 표면 관계가 아닌 정서적인 공감과 인정이다.

역시 다른 책의 주요 레퍼토리고 현실에서는 팀장의 인내심이 폭발하는 광경을 목도하게 된다.

 

중요한 것은 이런 저런 이야기들을 어떤 저자가 일목요연하게 정리해놓았나 이며. 보스의 탄생은 최근에 나온 책이라는 시간적 유리함과 보다 디테일한 체크 포인트까지 제시해 주는 부분에서 교과서로 삼음직하다는 의견이다.

 

소설을 읽는듯한 사례 이야기는 보너스라 할 수 있다.

 

"올바른 마음가짐을 가져라.

오로지 자신의 욕구를 충족하고자 하는 태도, 자신이 원하는 것만 생각하는 태도는

아무리 자신의 이기심을 겉으로 드러내지 않는다 해도 다른 사람들에게 분명히 드러나기 마련이다."

 

팀장으로서 명심해야 할 가장 중요한 문장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