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역사 - 외환위기부터 인플레이션의 부활까지 경제위기의 생성과 소멸
오건영 지음, 안병현 그림 / 페이지2(page2)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위기의 역사 : 과거 한국경제 흑역사에서 각자도생의 길을 찾다
 
한국의 GDP 감소율이 주요국가 세번째로 크다는 슬픈 소식에 이어 러시아에도 쳐졌다는 암울한 결과가 나왔다고 한다.
올 하반기 PF 부실에서 비롯된 경제위기가 일촉즉발의 상황이라는 뉴스는 기업 채권 시장을 얼어붙게 만들어 레고 랜드 사태로 시작된 불안정성이 더 위험한 지경에 이르렀다. 한동안 떠들썩했던 새마을금고 위기설은 진정이 된 건지 파묻은 건지 알 수 없지만 금융시장의 불안감은 여전하다.
그나마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소폭 인상으로 안정화되어 다행이지만, 1년 동안 가파른 상승세를 이어왔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 역시 마냥 좋아할 수 없는 지경이다.
 
반도체 이후 국가 경쟁력을 공고히 할 수 있는 미래 먹거리 개발에 절반의 승리 정도 결과를 만들어낸 대한민국으로서는 저출산 고령화라는 커다란 난제를 앞두고 있으니 웬만큼 잘해내지 않으면 지난 20여년간의 영광은 추억 속에 한 페이지로만 남게 될 것이다.
심각한 경제상황을 제대로 보도하지 않는 언론의 스탠스는 그나마 방법을 찾고 대안을 실행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조차 시궁창에 쳐 박아 놓고 있으니 각자도생이라는 체념이 확산되어 나라를 지배하지 않기 바랄 뿐이다.
 


저자는 IMF 시대를 거슬러 올라가며 한국경제의 위기를 점검해본다.

세계 그 어떤 국가보다 빠르게 금융지원의 사슬을 끊어내고 재도약하는 눈부신 성과를 보였지만 사실 경제전반은 물론 국민의식 속에는 모든 경제활동에 대한 경계선이 그어져 있다.

평생 직장이라는 개념은 없어졌고, 대기업과 은행의 불패 신화도 무너졌다.

직장인들은 항상 갑작스러운 정리해고의 불안감을 술로 풀어야 하며, 기업인들은 국내의 경제상황과 상관없이 외국의 양털깍기에 언제든 다시 희생양이 될 수 있다는 깊숙이 마음 속에 자리잡고 있는 불안감을 안고 사업을 해야 한다.

 

외환위기가 동아시아에 한정된 세계 검은 금융계의 장난질과 국내의 미온적인 대처가 결합된 결과물이었다면, 리만 브라더스로 촉발된 금융위기와 닷컴 버블의 몰락은 경제선진국이라는 미국 역시 깊은 손상을 입게 되는 충격 가득한 경제의 흑역사다.

결국 희생은 미국 이외의 국가가 같이 짊어지는 형국일 수밖에 없지만. 대공황 이후 세계경제권에 대한 헤게모니를 조금씩 잃어가는 계기가 된다.

 

근래 들어 가장 끔찍한 재앙이었던 코로나는 잠시 수그러들어 일상생활 복귀가 기능해졌지만, 양적완화를 통한 경제 유지에 온 힘을 기울였던 미국 연방준비위원회의 안일했던 결정은 지속 금리 인상의 먹구름을 전세계에 드리웠다.

미국 금리보다 낮은 한국의 현재 상황이 힘겹게 하루 하루 버티는 인내심 테스트일지 다시 한번 바닥을 치고 올라가는 도약의 기회가 될 지 아무도 모른다.

연속 적자 상태에서 국가가 기업이 개인이 할 수 있는 선택지는 제한되기 때문에 어쩌면 대한민국호는 유사 이래 최대의 호황기를 맞고 쓰러져가는 과정일지도 모른다.

 

그렇기에 개인이 할 수 있는 방법은 지식과 경험자들의 조언을 적극 활용하고 각 자의 미래를 준비하는 작업을 시작하는 것뿐이다.

책 한 권을 통해 무너지는 경제 지진에서 살아남기를 바란다면 욕심이지만, 지진이 나면 낮은 곳으로 몸을 피하고 헬멧을 쓰자는 첫번째 과제를 수행할 자신감과 실행력은 얻을 수 있다.

 

어렵지 않게 에세이 식으로 풀어가는 한국 경제 위기의 역사는 거센 파도를 버티는 작은 힘으로 개인의 지혜가 될 수 있을 것이라 믿는다.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