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일을 하면서도 왜 그 일을 해야 하는지 알지 못하고, 숙달되어 있으면서도 그 까닭을 깊이 알지 못하며, 일생 동안 그것을 따르면서도 그 도리를 모르는 자들이 보통 사람들이다.(동양고전연구회 역주, 『맹자』) - P7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랄라 엄마가 입을 열었다.
"초원의 모두는 언젠가 죽게 되지. 말라이카도 너도 마찬가지야. 그게 오늘일지 내일일지 아무도 몰라. 그러니 오늘 네가할 일을 해. 그럼 내일이 올 거야. 그것이 초원의 법이야."
그러나 와니니는 자신에게 내일이 없다고 확신했다. 말라이카의 붉은 피를 지켜본 저 달이 저물기도 전에 하이에나의 먹이가 될 것이다. 저 달이 차오르기도 전에 굶어 죽을 것이다. 혼자 떠도는 어린 사자의 운명은 이미 정해져 있었다.
마디바 할머니의 말이 옳다는 생각이 들었다. - P5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토마스와 테레사에서 토마시와 테레자로
재미있는 일화도 있었다. 작품 주인공이 개명을 한 것이다.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의 주인공 Tomá와Tereza는 한국에서 오랫동안 ‘토마스’와 ‘테레사‘로 잘못 불려 왔다. 번역본에서 작품 속 고유명사는 본래 출신에따라야 한다. 예를 들어 미국 소설에 등장하는 Thomas가 미국인이면 ‘토머스’ 미국에 살더라도 프랑스인이라면 ‘토마, 독일인이거나 오스트리아인이라면 ‘토마스‘다. - P3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1년은 시인 김수영이 태어난 지 100년째 되는해다. 1921년에 태어나 1968년에 사망한 그는 요절한 시인으로 불리기도 한다. 한 번도 늙어 본 적 없고 한 번도낡아 본 적 없다고 기억되는 사람, 그의 이른 죽음이 그를계속 살게 하는 건 아닐 것이나 젊음 그 자체로 박제된 그는 지금까지도 ‘기괴한 청년의 상징이 되었다. - P1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금이라도 사고파는 경험을 해라. 지금이 늦은 것이 아니다. 늦었다고 생각하는 그 순간이 바로 가장 빠른 시간이다. 이 사실을 명심해라. 신상품은 돈으로 소비하는 것이지만, 중고 상품은 경제 감각으로 소비하는 것이다. 소비 감각을 키워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