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북 - 검은 핏방울
조강우 지음 / 미다스북스 / 2024년 11월
평점 :
#사북 <검은 핏방울>
#조강우
#미다스북스
"묻혀진 진실, 사라진 자들의 메아리"
🔖
소설 [사북]의 모티브는 1980년 4월21일 '동원탄좌 사북지역' 광부들이 노동항쟁을 일으킨 데에서 기인한다.
열악한 환경 및 부당한 임금 책정 등에 대한 불만으로 목숨을 걸고 싸운 노동자들의 이야기.
💬
이 책에 관심을 가진게 된 것은 고향이 삼척인 엄마덕에, 경상남도에서 나고 자란 나는 강원도가 낯설지 않았을뿐더러, 광부로 일한 이모부 두분이 계시다보니 태백 탄광촌 또한 익숙한 곳이라 책 제목을 보는 순간. 읽어야겠다, 책속에 감추인 비밀에 큰 호기심이 발동했다.
📒
임금체불에 항의하는 광부들의 이야기로 시작된다.
고향이 사북인 기자 '박창'은 편집장의 부름에 기사를 쓰기위해 술주정뱅이 광부아버지로부터 도망치듯 떠나온 사북으로 돌아가게 된다.
후배기자 종석과 함께..
시위와 항의에 광부들은 마을로 들어어오는 다리를 사수하며 경찰과 계속되는 대치를 하고 있다. 최루탄을 쏘는 경찰과 돌을 던저 대응하는 광부들을 취재하고 이곳의 실상을 알리기위한 기자박창은 광부들보다는 자신에게 뜨뜻한 감자를 건내며 도와달라던 여고생 지웅이 사북여고에 돌고있다는 정신병?에 더 관심이 쏠린다.
어두운밤 학교에서 접한 이상한 형체, 지웅이 얘기하는 악귀, 양호선생님과 무당이 없애야 한다는 악귀, 지웅의 아버지는 지웅에게 씐 사탄을 신부님께 퇴마의식을 해달라지 않나..노승에 불교까지 온갖 종교는 다 나오고 귀신이 있네없네 믿음이 어쩌니저쩌니..
원인도 알수없는 정신병은 각자의 믿음대로 해결하려 하는데서 혼란스럽기만 했다.
그와중에 광부들의 시위를 취재온 박창의 동창은 박창의 믿음과는 다른 사실과 왜곡된 내용으로 기사화시키고, 광부들과 경찰의 대치는 점점 심해지고 부상자와 피해만 커져갈뿐이다.
💬
그냥 읽다보면 초반에는 그냥 정신없고 맥락없고 박창 머하는거며 종교따위 말도 안되는 일만 일어나고 있는것 같아 답답하다.
근데 이게 시대적 상황을 알고보면 군부 쿠테타시절, 뭐만 했다하면 빨갱이라 몰아가질않나 민주주의는 짓밟히고 군대가 동원되어 학살하는등 처참한 상황까지 이르다보니..기사화하여 실상을 밝힌다는것이 기자 한사람의 사명감으로 쉽지 않았으며 석탄이 주수입원이 되었던 시대에 공공연하게 발생하지만 누구하나 광부와 그 가족들의 생명에는 관심이 없었던 진실앞에 무력하기만 했었다.
생명을 존중받지 못했던 광부들과 그들의 아내, 아이들의 나빠진 건강은 열악한 지역 제대로된 병원도 없이 무속신앙과 주술, 부적, 신앙에만 메달릴 수 밖에 없었던 광산지역의 실상을 여실히 보여준다.
박창과 후배 종석의 기자로써의 정신과 사명감은 사북의 광부들의 실상에서 빛을 바랬지만 시대는 그들을 무기력하게 했다. 탄광에서 새어나오는 유독가스로부터 스스로의 생명을 지켜야했던 아이들과 의지할수밖에 없었던 신앙과 믿음..
💬
어렴풋이 기억이 날뿐이지만 어렸을때 태백 광부촌 이모집에 갔던 적이 있다. 시커먼 자갈모양의 돌덩이들이 가득한 땅과 파헤처진 산기슭들의 검은 형체, 광부들이 사는 아파트 역시 어두운톤에 칙칙한 외관, 하늘마저도 회색빛이였던 태백.
나중에 어른이 되어 만난 광부 이모부들은 광산이 문을 닫고 나름 연금으로 받는 돈으로 생활은 여유로운 편이였으나 폐가 망가지고 속병에 고단한 노후를 보내고 계셨다.
시대가 바뀌어도 약자는 여전히 약자이고 소외되는 지역은 늘 열악할뿐이다.
인간 존중이야말로 평등해야하지 않나..
그들로인해 따뜻한 겨울을 보낼수 있었음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물론 환경보호를 위한 선택이고 시대의 흐름이긴 하겠지만,
아직도 떠나지 못하고 그곳에 묶인 이들도 삶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살다 보면 누구에게나 어느 순간 딛고 있는 그 땅에 발이 묶이는 순간이 온다. 그렇게 되면 그곳을 떠나지 못해. 떠나고 싶어도."
[사북. 이는 단순한 노동분쟁이 아니었다. 그날의 절규는 힘없는 약자들의 최후의 저항이었다. 사북은 저주받은 땅이 되었고, 망자들의 한이 서린 장소가 되어 버렸다. 모두에게 잊혀진 채로..]
저자는 그 뜨거운 절규위에 상상력을 새겨 넣었다.
@midasbooks 서평단 협찬받은 도서로 읽고 쓰는 주관적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