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허삼관 매혈기
위화 지음, 최용만 옮김 / 푸른숲 / 2007년 6월
평점 :
1. 무심한 역사, 그 추상의 칼날
역사라는 거대하면서도 고집스러운 흐름 속에서 수많은 개인의 삶들은 한 점을 향해 휩쓸려 내려가면서 흐름 그 자체로 추상화된다. 마치 중력이라는 하나의 힘에 의해, 지구 중심이라는 한 점을 향해, 단 하나의 목적성을 가지고 하나가 되어 흐르는 수많은 물방울들의 집합체이자 일원체인 '강'처럼.
흐름 그 자체는 흘러가는 속성에서 기인하는 독자적인 힘을 갖는다. 즉, 흐름은 흐름을 구성하는 개별적인 입자의 운동성과는 무관한, 압도적으로 흘러가는 힘 그 자체에 의해 흐름의 방향이 결정된다. 역사의 흐름은 개인의 삶에 대해 압도적으로 무심하다.
빈곤이라는 역사는 허삼관 가족의 빈곤을 포함하면서 또 배제한다. 허삼관의 빈곤은 역사 속에서 빈곤이라는 하나의 관념을 구성하는데 일조하지만, 허삼관의 빈곤했던 그 개별적 형태는 역사 속에서 배제된다.
그렇게 배제된 개인의 삶은 문학(예술) 속에서 되살아날 수 있다. 무심한 역사의 칼날에 의해 마모되는 개인의 삶은 문학(예술)을 통해 확장되고 본래의 삶의 형태를 회복할 수 있게 된다. 수많은 현재의 개인의 '생'의 형태는 다양하지만 그들을 관통하는 생의 아픔은 동일하다. 그 생의 아픔을 매개로 수많은 우리들은 문학(예술) 속에서 깎이고 패이고 상처입은 각자의 생을 확장시키고 회복한다.
내 삶의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순간순간들이 무심한 역사의 추상, 그 칼날을 견디어낼 수 있을만큼 단단해지기 위해서는 고된 담금질이 필요하다. 생의 의미를 녹이고 두들겨서 아주 단단해질 수 있도록, 많이 읽는 것, 많이 생각하는 것, 많이 쓰는 것, 그것이 역사를 대하는 나의 보잘 것 없는 생이 취하는 오롯한 삶의 태도이다.
2. 행위의 근원
허삼관은 피를 팔기 전에는 꼭 물을 사발째로 8사발을 들이키고, 피를 팔고난 후에는꼭 돼지간볶음과 향주를 시켜먹는다. 처음 피를 팔러갈 때 방씨와 근룡이로부터 그래야한다. 라고 들었기 때문이다. 경험으로부터의 권위에 의한 지식은 어떤 합리적 사고보다도 강한 힘을 가졌으며 수명도 길다.
우리는 허삼관을 보며 웃을 수 있지만 과연 우리는 진정으로 합리적인 근거에 근거해 행위하고 있을까? 우리가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생각들은 합리적인 근거 위에 세워진 '진리'들인가? 우리 역시 그저 다른 어떤 권위에 의해, 맹목적 믿음에 의해, 혹은 무지에서 오는 단순함에 의해 믿게 된 몇몇 사실들에 근거해서 여덟 사발의 물을 마시고 두 사발의 피를 뽑고는 돼지간볶음 한 접시와 황주 두 냥을 데워먹는 삶을 살고 있는지도 모른다.
3. 피의 상징성
피는 보통 남성적인 힘, 혹은 생명을 상징한다. 허삼관에게는 그 의미가 더욱 특별했다. 노동을 통해 번 돈과 피를 팔아 번 돈의 가치가 다르다. 이 돈의 차이는 아들인 일락이를 통해 분명하게 드러난다. 친자식이 아닌 일락이에게 누에고치를 길러 번 돈으로 음식을 사주는 것은 괜찮지만, 피를 판 돈으로 일락이를 위해 쓰는 건 좀 그렇다. 고 하는 허삼관의 말에서 드러나듯 허삼관에게 피를 파는 행위는 생명을 돈과 교환하는 행위이며, 따라서 피를 판 돈은 곧 목숨값인 셈이 된다. 이 목숨값을 쓰는 방식에 의해 허삼관이 삶과 세계을 대하는 태도가 드러난다.
결국 허삼관이 삶을 살아가기 위해서는 피를 팔 수 있는 존재여야 한다. 마치 돼지간볶음과 향주를 먹기 위해서는 꼭 먼저 피를 팔아야하는 것처럼 말이다. 아이러니하게도 처음으로 돼지간볶음과 향주를 '먹기 위해서만' 피를 팔려했을 때, 더 이상 피를 팔 수 없다는 사실을 처음 알게 된다. 그것은 단순한 건강의 문제가 아니라 한 개인의 존재 양식과 삶을 대하는 태도가 부정되는 경험일 것이다.
한 존재를 지탱하는 삶의 조건이 무너지는 경험은 그로 인한 생의 허무를 견딜 수 없게 만든다. 다만 허삼관의 경우, 그가 피를 팔아 지키고자 했던 가족들에 의해 돼지간볶음과 향주를 먹게 되었고, 그 과정을 통해 그는 피를 팔 필요가 없는 새로운 삶의 양식을 느끼게 되지 않았을까 희망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