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갈리아의 딸들
게르드 브란튼베르그 지음, 히스테리아 옮김 / 황금가지 / 199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메갈이라는 신조어의 어원이 되었다는 유명한 소설을 이번 기회에 읽을 수 있게 되었다.
생각보다 흥미진진한 sf소설이면서 꽤나 탄탄한 세계관을 구축하고 있어 읽으면서 머리가 덜 아팠던 것 같다.
메갈의 미러링이라는 말이 왜 나왔는지 알 수 있었고 생물학적인 여자와 남자는 두고 사회 문화적 종교적 측면의 뒤 바꾸어 놓은 것이다. 권력을 가진 성과 그 반대 진영의 성이 함께 조화롭게 살아가는데 있어 생기는 갈등요인을 노총각 울모스 선생과 청소년 페트로니우스를 통해 드러내고 있다. 둘은 사제지간이기도 하고 결국 연대하여 맨움해방운동을 하게된다. 생물학적 특성은 역시 너무 특수한 것이어서 반대로 비틀어도 여전히 내가 보기엔 여성쪽이 권력을 가진자 내지는 가해자가 되기는 어려운 것 같다. 그 외의 부분들은 얼마든지 의도적으로 어느 한쪽 성을 우세하게 만드는 것이 가능하지 않나. 결국 가부장제도 인간이 만들어 인간을 불행하게 만든 것이라 생각하니 서로간 합의에 의해 얼마든지 평등하게 나아갈 수 있겠다 싶었다. 가진 자가 쉽게 자신들의 기득권을 내 놓지 않겠지만…
이 책의 마지막 루스브램의 말이 절대 빼앗기지 않으리란 절규처럼 느껴졌고 이는 현재에도 진행중인 성평등을 향한 투쟁을 암시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