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로력, 10년 후 내 아이의 명함을 만든다 - 행복한 진로 혁명 프로젝트
정영미 외 지음 / 라이스메이커 / 2013년 2월
평점 :
품절


아이가 어느 정도 크고 아이의 적성이 보이면 아이들의 적성에 맞는 일을 빨리 찾아줘야 하는 것이 아닐까 하는 고민을 다른 집들보다 빨리 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보게 되네요. 

적성이 일찍 보이는 아이는 아무래도 부모가 신경 써서 그 쪽으로 키워줘야 하기도 할 테니까요.

그렇게 생각하던 차에 이 책을 보는 순간 너무 읽어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TV에서 방송되었던 다큐멘터리의 내용을 엮어서 다른 나라들의 교육 사례와 우리 나라 

교육과 비교하며 대안을 제시하는 책이죠.

<진로력, 10년 후 내 아이의 명함을 만든다>

아이들에게 장래 희망을 물어보면 뻔한 대답이 많이 나온다고 하죠. 부모가 보여주고

바라는 내용들이 꿈 속에 반영이 된 거라는 게 대답 속에서 느껴진다고 하죠. 초등학교 때부터 부모에게 강요된 직업 정보만 알고, 입시 위주의 교육만 받다보니 직업에 대한 선택의 폭은 너무 좁고 다양한 직업의 세계도 경험해보지 못하고

성인이 된 이후에야 적성에 맞는 직업을 찾지 못해 이직을 하는 일도 많고

헤매는 경우를 많이 보는 것 같아요.

가끔 어릴 때부터  요리나, 미용 등 특정한 쪽으로 재능을 보이는 아이들이

우리나라의 교육 현장에서는 그 재능을 키울 수 없어 결국 외국으로 유학을 떠나는

과정이 나오는 방송이나 잡지 기사들로 접해 본 기억이 나더라구요.

그걸 보면서 우리 나라도 어릴 때부터 꿈을 키울 수 있는 특수 학교들이 설립되어 있다면

아이들이 좋아하는 걸 집중적으로 배울 수 있고, 꿈도 키울 수 있고, 우리나라에도 

다양한 인재들이 발굴될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었었는데.

막상 아이를 낳고 아이를 키우고 있는 현실에 접해 있는데 그 예전과 지금이나 달라진 게 없다는 현실에 직면했네요.


우리나라 교육계도 변화가 시작되고는 있다지만

아직까지는 부모가 발 빠르게 움직여줘야 하는 것 같다.

학교 교육은 교육이고 개인적으로 많은 경험을 해주게 하고

아이의 진로를 찾는 데 도움을 주는 부모가 되어야 한다는게 개인적인 생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갈색이야 - 외톨이 갈색이의 친구 사귀기
줄리아 쿡 글, 브리짓 반스 그림, 공경희 옮김 / 찰리북 / 2014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외톨이 갈색이의 친구 사귀기! 

찰리북에서 나온 <나는 갈색이야> 책!

아이들의 또래 문제겠구나 생각하면서 책을 같이 읽어보았어요.

책 속에 나오는 색깔들

가장 눈에 띄는 검정, 밝고 명랑한 노랑, 기발한 생각을 잘하는 보라,

얘기를 잘 들어주는 분홍, 싸움을 말리는 하양, 속강한 친구들을 잘 안아주는 파랑, 정직 연두, 재미난 주황, 믿음직한 초록, 친구들과 잘 어울리는 빨강...

색깔 친구들의 장점들을 들으면서 우리 아이들도 친구들의 장점을 볼 줄 아는 아이들이 되었으면 좋겠다는 생각도 들었어요.

하지만 주인공 갈색은 친구들의 좋은 점은 보이면서

자신의 좋은 점은 찾지도 못하고 자신은

예쁜색이 아니고, 다른 친구들처럼 자주 쓰이지도 않고, 키도 크고.

안 좋은 생각들만 하고 있네요.

갈색이의 고민을 듣던 연두의 말.

"좋은 친구를 사귀려면 네가 먼저 좋은 친구가 되어야 해  "

이 말은 정말 어른인 제가 봐도 중요한 포인트가 되어 전해졌어요.

그 말을 듣고 자기의 모습을 고치는 갈색.

그러면서 변해가고 노력하는 모습을 보이는 갈색의 모습을 통해

우리는 배울 점이 많았네요.


갈색의 표정이 눈에 띄지요.

부모님과 선생님이 읽어보면 도움이 될만한 글도 첨부가 되어 있어서
많은 도움을 받았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초등부터 메가스터디 메가 계산력 5권 - 초등학교 2학년~3학년 (새교육과정) 초등 메가 계산력 5
메가스터디 초등수학 연구회 지음 / 메가스터디북스(참고서) / 2013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아이가 올해 초등 3학년이 되어서 메가계산력 5권을 먼저 만나보게 되었네요. 

단순하게 반복적으로 문제를 풀어봐야 하는 부분도 필요하단 생각에

선택하게 되었는데요.

수학이라면 다들 싫어하다 보니 정말이지 수학 관련 문제집을

풀어보는 것은 너무나도 힘든 일인 것 같아요.

책 크기도 시원시원하고  단순하게 반복적으로 문제를 풀게끔 되어 있는 메가계산력은

연습과 반복을 1일 학습으로 잡고 있더라구요.

문제가 띄엄띄엄 있다 보니 많다는 생각이 안 드는지 단순하게 앉아서

쭈욱 풀기에 좋은가 보더라구요.

구성에 대해 설명도 잘 되어 있고, 계획을 잡을 수도 있고 집에서도

계획적으로 할 수 있게끔 되어 있다 보니 아이 스스로 자기 학습 진도와 실력을 체크해 볼 수 있어서 좋다는 생각이 드네요.




셈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설명이 나온 부분인데 이 것만 보아도 아이가 이해를
하기는 하더라구요.

기초적인 나눗셈을 풀어보니 만족하는 모습이에요.

새로운 셈이라 어렵다고 생각하다가 막상 구구단을 알고 나니

이런것도  풀 수 있다는 것에 대해 신기한 모양이더라구요.

배우는 것이 이런 것이라는 것을 점점 알아가는 것 같아

부모로서 만족스러웠어요.





차근 차근 할 수 있는 만큼 매일 조금씩 학습하는 습관만 들인다면

아이에게 공부가 해볼만 하다는 것을 깨달았으면 좋겠네요.

3학년 수학 중요하다고 들었는데 이 한권으로 자신감을 가졌으면

좋겠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엄마를 위한 하루 담푸스 그림책 10
마리케 블랑케르트 글.그림, 이승숙 옮김 / 담푸스 / 201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엄마를 위한 하루.. 

제목을 보고 표지 그림만 보아도 엄마를 위해 아이가 하는 행동을 그린 책일거란

느낌이 들었어요.

솔직히 내가 아프면 나를 돌봐줄 사람은 없다는 생각에 결혼 후에 아플 땐 그만큼

외롭고 서글픈 날을 느꼈던 경험은 누구나 있을 것도 같네요.

주인공 지미는 엄마가 편찮으실 때 엄마를 대신해서 엄마의 일을 대신 하면서

도와주려는 노력을 보이네요. 아이의 그런 모습이 보는 동안 흐뭇하게 만들기도 했지만

어설픈 아이의 솜씨가 엄마에겐 더 일을 만들기도 하죠.

엄마는 보지 않고 있으면서도 소리만 듣고도 지미가 무슨 일을 하고 있는지 알고 있죠.

엄마를 도와주려는 마음은 알지만 서툴기만 한 아이의 솜씨를

그림으로 표현한게 참 재밌게 느껴졌네요.

엄마는 아픈 와중에도 아이의 마음을 이해하려 하면서 몰래 뒤쫓아 다니면서

치워주곤 하네요.

세탁기에 세제가 넘쳐나게 붓는 모습이 참 재밌게 느껴지죠.

 

 



이 책을 보면서 엄마가 아프면 집안 일을 갑자기 해야 할 날이 올 수도 있다고

미리 미리 집안일을 거들면서 해보고

할 줄 아는게 오히려 더 좋다는 것을 미리 경험해보자고 아이들하고 얘기해보고

했네요.

아이들도 스스로 해보면서 느끼고 깨닫는 시간이 중요한 것을 이 책을 통해 배웠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트맨의 부부 감정 치유 - 상처 난 부부 관계를 회복시키는 가트맨식 '신뢰의 과학'
존 가트맨, 낸 실버 지음, 최성애 옮김, 조벽 감수 / 을유문화사 / 201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존 가트맨

감정에 초점을 준 부부, 부모, 자녀 관계 연구의 세계적인 권위자이자 전문가이시다.

그 분이 책을 냈다 하면 일단 믿음이 가는 것 같다.

이번에도 그런 의미에서 열심히 읽어보았다.

부부가 살다보면 상처를 받는 일도 많고 그 감정들을 숨긴 채 그냥 그냥 살아가는 일이 많은 것 같다.

신뢰가 깨지면 관계는 어떻게 회복을 시켜야 하는지..

궁금한 점이 많다.

36년 동안 약 3천 쌍 정도의 자료를 가지고 연구한 결과

이혼하는 사람들의 공통점은 부정적인 싸움 방식에 있었다고 한다.

행복한 부부들은 일상의 사소한 일에서 긍정성을 많이 보여주는 것을 보여주고,

상대방의 말에 어떻게 반응하는지가 부부 관계의 미래를 보여준다는 것.

말 하나에 상대방의 마음을 닫게 하고 신뢰가 깨질 수도 있고, 그런 순간들이 쌓여 서로 단절된 상태로 될 수도 있지만 거기에서 벗어날 수 있는 방법들을 알려준다.

방법도 방법이지만 배우자가 왜 그런 갈등 상황에 빠지게 되는지부터

알면 더 큰 문제가 생기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그래서

안 좋은 결과가 가기전에 미리 조심을 하는 것이 제일인 것 같다.







완벽한 결혼은 존재하지 않는다.

시간에 걸쳐 사랑은 깊어진다.

사랑은 우리가 가질 수 있는 가장 신성한 경험이다.

한 사람을 사랑하고 함께 살아가는 것이 어려운 일이다.

신뢰를 깨뜨리지 않고 살아간다는 것 역시

행복한 결혼생활을 위해서는 서로에게 늘 노력하는 모습으로 따뜻한 대화와

일상의 작은 행복을 소중히 생각하며 하루하루

작은 기쁨을 찾아간다면 지금보다는 행복하게 살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