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내가 결혼했다 - 2006년 제2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박현욱 지음 / 문이당 / 2006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박현욱의 [아내가 결혼했다]를 그냥 내리 읽어버렸다.

사실 여백이 큰 편이라 빽빽하게 글자로 채워져 있는 여타 책보다는 눈피로가 덜해서 그랬는지도 모르겠다. 결혼이라든지 연애에 대해 깊이 생각을 못해본 내가 아직 어린애인지 소설의 소재 자체에 대한 관심은 없었다. 하지만 눈을 못 때게 만드는 힘이 있다. 아무래도 충분히 논쟁적인 소재이기 때문일까. 읽고 나서 머리 속이 복잡해 졌다.

  남자만 바람피냐, 아니다 여자도 바람을 필 수 있다. 하지만 이 소설에서 여자는 바람을 핀 것이 아니라 정당하게(?) 결혼을 두 번하게 된다. 이혼도 없이, 재혼도 아니고... 그걸 받아들이는 주인공 남자의 속타는 심정이 구구절절하게 펼쳐져 있다. 아마 그의 투정을 그냥 들었으면 지켜울 텐데, 축구의 룰과 유명 축구 선수들이 했던 명언들과 함께 그 자신의 이야기를 대유해서 마치 '축구의 이모저모'를 보는 듯한 재미를 준다. 

정당한(?) 다부일처제

 다른 남자와 결혼한 아내도 싫고 그 남자도 싫단다. 하지만 아내를 사랑하기에 이혼할 수는 없다. 결국 한 여자와 두 남자의 결혼생활이 시작된다. 물론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본다. 그걸 용납하는 남자 주인공은 책 속에서도 말하지만 정말 나사 하나가 빠진, 제정신일 수 없다.

  하지만 남자들의 바람에 항상 상처 받는 여자들의 심정을 애처롭게 다룬 한(恨)서린 우리 옛소설에서 답답한 모습들을 봤다면, 이 소설에서는 두 남자 다 사랑하며 평등하게 대하려고 노력하는 그녀의 모습(물론 주인공은 그걸 인정하지 않으려고 한다.) 은 커리어 우먼으로서, 주부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해낸다.

소위 여성은 직장과 가정에서 일을 강요받는데, 그녀는 어느 것 하나 소흘하지 않고 완벽하게 해낸다. 왠지 비현실적인 그녀에게서 묘한 쾌감을 느끼게 된다. 문학 작품에서 숱하게 등장하여 결국 하나의 공식처럼 되어버린 고정관념을 한 방에 쳐내려간다. 그야 말로 속 시원하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주인공 남자의 이해할 수 없는 넓은 아량이 마음에 걸린다.

도대체 무슨 생각으로...더욱 심한 것은 그녀와 결혼한 또 다른 남자...그를 뭐라고 불러야 하나...둘째 서방님????

아무튼 그의 순종적인 태도는 실로 자존심을 져버린 한 남자 아니 인간의 순애보라고 할 정도로...애처롭다.

 

역할 투쟁의 승자, 그녀

이 소설을 읽다 보면 여자와 남자의 역할을 바꾼 것이 아닐까 하는 의구심이 든다. 마치 동성 간의 사랑을 다룬 것이 한참 이슈가 된 것처럼...

실제 커플들의 사랑과 같지만...성역할이 무너진 그런 것이 아닐까. 주인공 남자는 여성성을 보이기까지 한다. 물론 그가 여성이라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남성은 여성에게 꼬리를 내리고 말고 여성은 결국 주도권을 확립하게 되었다. 오히려 성적인 측면에서 남성의 넓은 아량과 마인드는 어느새 그녀에게 주어지게 되었다.

  결국 남성성과 여성성은 실로 역할이 만들어내는 것인가 하는 꽤나 말 많게 만드는 개인적 의견만 늘어놓고 말았다. 에이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