펜리르 1
오니시 미오코 지음, 아카마츠 추가쿠 원작 / 대원씨아이(만화)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징기스칸의 스토리가 만화로~

만화 [펜리르]는 몽골 뿐만 아니라 중국 외 유럽까지 대륙을 정벌한 위인 징기스킨의 소재로 하고 있다. 왕이 되기 전 이름은 테무친으로 키야트 씨족의 족장의 장자로 태어났으나 장자가 계승한 시스템이 아닌 실력주의였던 관계로 초반에는 족장으로 바로 자리 잡지 못한 것으로 그려진다.



초원의 강에서 물을 떠던 중에 물에 빠지게 되는데, 이 때 신과 유사한 생명체에 의해 위기를 넘겨 살아나게 된다. 그 생명체는 펜리르 즉 땅을 흔드는 자로 역사 속에서 보면 천명 즉 하늘의 뜻을 지닌 자에게 선택 받은 존재로 등장한다. 물론 국가 창조 신화에서 나타나는 정통성을 강화하기 위한 요소를 만화적 상상력을 통해 흥미롭게 풀어내고 있다.

세기별로 국가를 통일한 인물들의 초기 자신의 조직을 만들기 위한 전략인 포용력을 테무친도 지니고 있다. 국가라는 시스템보다는 부족 간의 뺏고 뺏기는 약육강식의 패러다임을 부신 인물로 등장한다.


부족을 공격한 적이라도 그들만의 사정이 있을 것이라는 타인의 입장을 이해하려는 마음가짐이 바로 리더로서의 자질을 증명하고 있다. 물론 실제 징기스칸도 역시 대륙의 통일을 이룩한 이들이 말하는 통일만이 평화를 이루기 위한 대사이므로 대항하는 적과 부족들을 멸살시켰으니 참 오묘한 이중성이라 할 수 있다.

실로 작은 부족이었던 테무친이 당시 몽골의 큰 부족의 족장을 설득하고 도움을 얻는 장면에서는 큰 뜻을 인간애로 뭉쳐진 매력적인 인물로 등장한다.

만화의 특이점은 징기스칸이 활동을 했던 12세기에 맞춰 당시 일본의 요시츠네와 벤케이가 등장하는 시대로 연결을 시켜서 전개하고 있는데, 이 점이 어떻게 전개될 지 매우 궁금해지는 부분이긴 하다.



울루스(커다란 하나)라는 이상으로 주변 사람들을 설득하는 모습은 당시에도 철학이 확실해야 했음을 보여주는 장면으로 기억에 남는 컷이다.

하임뽕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