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이소지 씨 2
와시오 미에 지음 / 미우(대원씨아이)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근 뉴스에 의하면 국내도 반려동물 인구가 1000만명 시대라고 한다. 국가 통계 지표에서 반려동물 항목 추가를 가지고 논의중이라 하는데, 그만큼 반려동물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는 시대이다. 그만큼 반려동물 관련 영화, 웹툰 그리고 소설 등 다양한 콘텐츠에서 등장하고 있다. 



특히 반려동물에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개와 고양이이며 그 뒤를 이어 물고기(어류) 그리고 조류가 있다. 개나 고양이를 소재로 한 만화는 많은데, 새를 주제로 한 만화는.... 음 예전에 만화 [백귀야행]의 이마 이치코 작가의 실제 반려동물인 문조새를 소재로 한  [문조님과 나]을 재미있게 읽었던 기억이 있다. 


자아도취 왕관 앵무새, 이소지씨


 왕관 앵무새를 키우는 아에씨는 20대 초반의 새내기 만화가로 본인 작품 활동 외에 선배 만화가의 원고 어시스턴트부터 그림 관련 작업으로 살아가는 여성이다. 어느 날 왕관 앵무새를 반려 동물로 집에 들이게 된다. 반려조를 이름은 이소지~ ㅎㅎ 


왕관 앵무새인 이소지씨는 본인을 야에의 집사라고 생각하고 있다. 그녀를 도우려는 마음이라 할까, 계속 지켜보며 든든한 보호자 역할도 하고, 처음 보는 물체에 놀라거나, 새로 본 사람들에게 낯을 가리는 다양한 변모를 보이고 있다. 


가장 좋아하는 것은 거울에 비춘 본인을 모습을 친구라고 여기는데, 재미있는 것은 멋진 친구라고 생각한다는 점이다. 거울에 있는 본인과 경쟁하는 앵무새 모습을 모습이나 소리에 반응해서 음율을 맞춰서 따라하는 에피소드 등이 그려졌는데 미에 작가의 세심한 관찰력을 볼 수 있다. 


이소지씨가 추워할까봐, 새장 안에 놓인 새 전용 난로인 병아리 난로에서 쉬는 모습이나,  코타츠로 이소지를 유인하는 아에씨의 귀여운 밀당, 휴대용 손난로의 소리에 리듬을 맞춰  헤드뱅잉을 하는 모습은 반료견이나 반료묘에서 느끼는 커뮤니케이션이 반려 새한테도 느낄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반려조와의 일상을 다뤘기 때문에 일상툰의 성격을 지니고 있어서 스펙터클한 이야기 전개는 없지만 피식 웃게 만드는 에피소드로 구성되어 있어서 읽기 편했다. 그 밖에  칸새 구분이나 배경 그리고 그림체가 안정적이라서 보기 매우 좋은 작품이었다. 



하임뽕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