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끼전 빛나는 우리 고전 그림책 시리즈 3
김진경 글, 강우근 그림, 권순긍 자문 / 장영(황제펭귄) / 2012년 7월
평점 :
품절


 

고전에는 옛사람들의 삶이 배어 있습니다.

우리 고전문학은 입에서 입으로

전해 오며 옛사람들의 생각이 담겨진 그릇입니다.

 

<토끼전>은 오래된 이야기만큼 고전소설로서 다양한 판본들이 있는데

내용이 조금씩 다르게 그려져 있다고 해요. 오랜 세월 이야기가 전해지면서 시대적 요구에 따라

토기, 자라, 용왕 등 주요 인물의 역할이나 성격이 달라지기도 하고, 끝이 달라지기도 한 것인데요~ 

이렇게 <토끼전>은 토끼와 자라의 성격, 그리고 결론을 어떻게 맺느냐에 따라

그 내용이 달라지는데, 여러 판본들 간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학자들은 우리 고전소설

중에서 정치적 성향이나 비판의 수위가 가장 높은 작품으로 <토끼전>을 꼽고 있다고 합니다.

 

바닷가에 이르자마자 토끼는 후다닥 멀찍이 높은 바위로 올라갔어.

토끼는 까만 알약 같은 똥을 한 무더기 칡잎에 싸서주고는

얼른 달아나 버렸대. 그래서 그 토끼 똥을 용왕이 먹었나고?

그거는 아무도 몰라,

자라들이 아직 물속에 잘 살고 있는 거 보면 그 때 용왕의 병이 나아

자라가 벌을 받지 않은 것 같기도 하고. 허허!

 

 

 
창작그림책 전문 출판사 황제펭귄에서 <장화홍련전> <전우치전>에 이어
 이번에는 <토끼전>을 만나볼 수 있게 되었네요~
토끼전은 우리가 잘 알고 있는 토끼와 자라라고 하면 더 익숙할까요?
토끼의 간을 먹어야 병이 낫는 용왕이, 자라를 보내 토끼를 잡아오지만 토끼는 결국 꾀를 써서
살아나게 된다는 이야기인데, 우리나라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은 들어 본 이야기죠~~
<토끼전>이 이처럼 길게 사랑을 받은 까닭은, 무엇보다 주인공 각자가 뚜렷한 개성을 가지고
이야기 속에 생생하게 살아 있기 때문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언뜻 보면 판화로 작업한 듯한, 투박한 듯하면서 어눌한 선이 강조된 이 기법은
 <토끼전>의 유머러스하면서 해학적인 정서를 잘 살려내고 있어서
딸 아이에게 꼭 보여주고 싶었던 책이었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