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럼에도 개를 키우려는 당신에게 - 개를 키울 자격에 대하여
강형욱 지음 / 혜다 / 2025년 1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개는 개로 살아야 행복합니다!"
'개를 키울 자격'에 대한 진지한 고민
그리고 그에 대한 강형욱 훈련사의 대답들
강형욱 저자는 자신이 살기 위해서 훈련사가 되었다고 이야기합니다.
자신이 받고 싶은 보살핌을 그때 그 어리고 약한 강아지들에게 그대로 베풀어 주었고,
그 행동을 통해 강아지들이 아닌 자신이 치유를 받았던 거죠,,
자신이 받고 싶은 사랑을, 자신이 받고 싶은 보살핌을 강아지들에게 베푸는 순간,
자신 또한 사랑과 보살핌이 주는 따스함을 고스란히 느낄 수 있었다고 합니다.
반려견이 건강하고 행복하게 살기를 바라거나
좋은 친구가 아니라 좋은 보호자가 되는 법이 궁금하다면,
이번 [그럼에도 개를 키우려는 당신에게] 책에서
강형욱 훈련사가 들려주는 이야기를 만나보세요~
진정한 보호자의 역할은 무엇인지 자연스럽게 알아가게 될 것입니다.
사람들이 개를 가족으로 입양할 때의 목적은 삶의 공유입니다.
하지만 반려견들이 힘들게 집을 지키는 이유와 산책길에서 다른 개들에게
배타적 짖음을 짖어 대는 이유는 세력권을 방어하기 위함이라는데,
인간은 가족을 원하고, 개는 무리를 원하는 시작부터가 다름을 알아야 합니다.
가족 통제, 짖음, 산책 짖음, 분리불안, 공격성, 신체 자해 등의 행동은
가정 내에서 높은 주도성을 가진 개들에게서 나타나는 주도행위들이라고 합니다.
그런 개가 되도록 만든 사람이 바로 '주양육자'라는 것!
시도 때도 없이 안고, 무릎에 올려놓고, 언제 어디서든 곁에 가까이 붙여 높으려는 사람,
접촉주도성을 상실한 '주양육자'에 의해 개는 통제자의 고달픈 삶을 시작하게 됩니다.
개의 일생을 심각하게 망가뜨릴 수 있는 살마도, 세상 편핸 개로
만들어 줄 수 있는 사람도 '주양육자'라는 사실을 꼭 기억해야 합니다.
1. 정리*정돈하기
2. 매일 아침저녁으로 산책하기
3. 배불리 먹이지 않기
4. 집 안 산책하기
초인종 소리에 짖는 것을 고치기 위해 강형욱 훈련사님이 알려주신
'집 안 산책하기'를 한 번 시도해봐야겠네요.
반려란 '내 삶의 동반자로 함께 살아간다'라는 뜻입니다.
마냥 귀여움의 대상이었던 '애완견의 시대'를 넘어 이젠 삶의 동반자이자 가족으로
함께 살아가는 '반려견 시대'로 접어든 것이죠~
그래서 더욱 반려인은 보호자로서 반려견이 건강하고 행복하게 살 수 있도록
그들의 삶을 책임지고 돌보아야 하는 의무와 책임이 있습니다.
반려견의 삶을 평온하고 올바르게 이끌어 갈 책임을 우선으로 삼아야 할 것입니다.
개는 과거도 미래도 아닌, 현재를 산다는 말을 들었는데,
우리 댕댕이와 행복한 시간을 많이 보낼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건강한 음식을 먹이고, 좋아하는 산책도 많이 하면서 말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