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은 어제가 있어 빛난다 - 과거를 끌어안고 행복으로 나아가는 법
샤를 페팽 지음, 이세진 옮김 / 푸른숲 / 202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지나온 삶과 더불어 잘 살아가기 위한 철학적 사유

우리가 지나온 인생이 "진짜 삶"이다

누구에게나 힘들었던 과거 하나 쯤은 있을 것입니다.

과거란 마법의 주문을 외워서 사라지게 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기에,

괴롭지만 힘든 과거와 마주해야 미래의 행복이 날개를 다 펼 수 있습니다.

이번에 만난 [삶은 어제가 있어 빛난다] 책에서는

프랑스의 대표적 지성 샤를 페팽 저자가

어떻게 과거를 미래로 나아갈 힘으로 삼을 것인지에 대해 알려주고 있습니다.

우리를 이루는 것은 현재보다 과거의 지분이 더 크기때문에

과거와 잘 지내면서도 적절한 거리를 두는 법을 배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는데,

과거를 끌어안고 행복으로 나아가는 법,, 알아볼까요~

어떤 추억을 '잊었다고'해서 그것을 완전히 잃어버리는 것은 아닙니다.

추억의 집요한 생명력에는 이유가 있는데,

첫째로 생존을 위한 유용성 때문이고, 둘째는 경험에 깃든 감정의 크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부정적 감정을 더 잘 기억하는데, 주로 두려움, 생존 본능과 결부된 감정은

우리 종이 오랜 세월 진화하면서 물려받은 기억을 발동시킵니다.

이렇듯 기억력의 근본 기능으로 인해 오늘날에도 고통스럽고 불행한 추억은

그렇지 않은 추억보다 더 강하게 우리 안에 뿌리를 내리게 됩니다.

지금 이 순간에 나를 맡기고 현재에 온전히 임하면 내게 떠오르는 것을 수용하고

과거와 통하는 문을 열 수 있는데, 우리는 언제나 앞일을 생각하기 바빠

불안하고 과거의 회귀에서 활력과 기분 좋은 자극을 얻기가 힘든 것입니다.

우리는 현재에도 과거에도 충실하지 못한 것이 문제입니다.

우리는 과거를 피할 수 없기 때문에 과거와 함께 살아야 합니다.

과거를 버팀목 삼아서 말이에요,,

스토아주의자들은 그 흘러간 시간을 떠올려보자고, 일어난 일에는

진심으로 동의하자고 권합니다. 세네카에 따르면 우리가 지나온 인생이

"진짜 삶"이라고 합니다. 뒤를 돌아볼 줄 모르는 사람은 충만하게 살았던 삶을

흘려보내는 셈이라고 하는데, 그말이 참 와닿네요..

이제 과거를 돌아보고 과거가 하는 말에 귀 기울여보세요.

그 안에 삶의 단서들이 숨겨져 있을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