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쇼펜하우어, 홀로서기 인생철학 - 균형 있는 삶을 위하여
서경홍 지음 / 굿모닝미디어 / 2024년 8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읽고 쓴 리뷰 입니다.
알 수 없는 주문처럼 들리던 쇼펜하우어 철학의 진수를
끄집어내어 먹기 좋게 차려 놓은 철학책
아무리 좋은 공자님 말씀도 알아들을 수 없이 어려우면 별 소용이 없습니다.
어려운 칸트의 철학을 남들의 무시를 받아가며 쉽게 이야기하려 했던 사람,
그가 바로 쇼펜하우어입니다.
염세주의자, 허무주의자, 비관주의자, 의지와 표상.
그는 독일의 강단과 주류철학에서 배제되어 홀로 세계가 무엇이고
그 안에서 인간은 왜 살아야 하는가에 대한 정확한 근거를 찾아 헤맸던 철학자입니다.
인간은 무수한 욕망 덩어리이며, 그 욕망은 채워도 채워도
채워지지 않기 때문에 모든 인생은 고통인 것입니다.
그렇다면 그 고통을 조금이라도 더는 방법은 없을까요,,
쇼펜하우어는 그것을 우리에게 알려줍니다.
그는 어떻게 행복하게 살 것인가가 아니라 어떻게 하면 행복하게 살 것인가라는
바로 그 생각에서 빠져나올 궁리를 골똘히 한 사람입니다.
그의 말대로라면 인생의 본질은 고통인데 사람들 대부분이 그 본질을
인식하지 못하고 그저 행복만 바라고 있으니 더 불행해진다는 것입니다.
쇼펜하우어는 평생을 고독 속에서 살았다고 하는데요,,
야심차게 출간한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는 거의 팔리지 않았고,
헤겔에게 망신을 당하고 베를린 대학을 한 학기 만에 그만뒀으며,
어머니와 의절했고, 평생을 혼자 살았습니다. 이러한 고독 속에서
쇼펜하우어에게 인생은 고통이었고, 세계는 최악이었죠.
하지만 그런 고독이 없었더라면, 아마도 쇼펜하우어의 철학은
나올 수 없었을 것입니다. 고독도 능력이라는 말이 정답이네요.
일이 원하는 대로 풀리지 않을 때 우리는 고통을 느낍니다.
물론 일이 잘 풀린다고 해서 삶이 반드시 행복을 향해 가는 것은 아닙니다.
행복한 염세주의자였던 쇼펜하우어를 보니,
우리는 과연 이 고통에서 잘 벗어날 수 있을지,, 생각해보게 됩니다.
분명 삶은 고통스럽지만, 그 고통의 끝에서 누군가는 때때로
다시는 경험할 수 없을 것 같은 만족감과 개인 혹은 집단,
나아가 인류의 삶을 바꿀 수 있는 위대한 발견을 해내기도 합니다.
모두 귀찮고 불편한 일들이지만, 어쩌면 우리는 그런 행동으로 얻은
만족과 기쁨 덕분에 또 하루를 살아가고 있는지도 모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