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음에 박힌 못 하나 - 곽금주 교수와 함께 푸는 내 안의 콤플렉스 이야기
곽금주 지음 / 쌤앤파커스 / 2014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일, 연애, 가정, 친구 등 우리 삶의 대부분은 인간관계로 이루어져 있다. 기술이 발달하면서 생활의 많은 부분이 기계화되었다 해도, 여전히 사람을 상대하지 않고 할 수 있는 일은 별로 없다. 따라서 인간관계는 평생토록 우리를 따라다니는 중요한 화두일 수밖에 없다.
그런데 중요한 만큼 어려운 것이 인간관계이다. 원만한 인간관계를 맺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상대방의 심리를 잘 읽어 내는 것이 중요하다. 소개팅 상대가 나에게 호감이 있는지 없는지 알 수 있다면 눈치 없이 들이대다 망신당하는 일은 없을 것이다. 또, 직장 상사의 심중을 잘 헤아려 행동한다면 빠릿빠릿하고 유능한 사원으로 인정받게 될 것이다.
그래서 나는 심리학 책을 많이 읽고 있다. 처음에는 상대의 마음을 파악하기 위해서 심리학을 일다가 보니 나 자신에 대해서 알게 되었다.
이 책은 대한민국의 대표적 심리학자로 한국발달심리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국민은행 〈KB레인보우 인문학>, TV조선 〈멘탈 콤플렉스〉에서 콤플렉스의 깊은 내면을 밝혀 호평 받은 바 있는서울대학교 심리학과 곽금주 교수가 콤플렉스의 유래와 원인, 내면의 복잡한 심리적 메커니즘을 신화 및 문학작품의 인물을 통해 한편의 이야기를 읽듯 흥미진진하게 풀어내고 있다.
사람은 누구나 ‘마음에 박힌 못’이 있다. 키 작은 남자들은 키에 대한 열등감에서 벗어나기가 어렵고, 여자로 태어난 것을 억울하게 생각하는 여성들도 있고, 냉담한 부모에게서 받은 상처로 어른이 되어도 힘들어하는 이들도 많다.
이 책에서 저자는 누구에게나 있을 법한 대표적 콤플렉스 18가지를 문학작품과 신화 그리고 그림을 곁들여 알기 쉽게 설명한다.
부모에게 인정받지 못한 사람들이 과도한 인정욕구를 가지는 파에톤 콤플렉스, 이 여자 저 여자 떠돌면서도 외로움을 느끼는 돈 주앙 콤플렉스에서부터 자식이 자기보다 뛰어나게 될까 봐 전전긍긍하는 크로노스 콤플렉스, 남편에 대한 증오로 자식을 해치는 메데이아 콤플렉스처럼 극단적인 유형까지, 주위를 둘러보면 ‘아, 그 사람~!’ 하고 누군가를 떠올리게 되는 콤플렉스들이다.
책은 심리학적 연구로 입증된 콤플렉스를 비정상으로 몰아가지 않고 오히려 인간을 이해하는 코드로 해석하고 있는 점은 매우 주목할 만하다. 또한 콤플렉스를 숨겨야 할 약점이 아니라 오히려 잘 활용하기만 한다면 스스로를 발전시키는 좋은 촉매가 될 수 있음을 다양한 인물 사례를 통해 보여준다.
나폴레옹 콤플렉스를 보면, 키 작은 사람들이 열등감을 극복하려고 더 큰 지배욕을 갖는다는 게 나폴레옹 콤플렉스다. 그러나 나폴레옹의 키는 그리 작지 않았다는 게 정설로 전해진다. 설령 그것 때문에 콤플렉스를 느꼈다고 한다면 작은 키 덕분에 자신을 더욱 강하게 만들고 역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했다면 이는 충분히 긍정적이지 않을까.
이 책을 읽다가 보면, 어느 순간에 자신 안에 단단히 박혀있는 못을 발견하게 되고, 스스로 그 못을 빼거나 포장할 수 있는 기술을 익히게 된다.
한국 사람은 마음에 박힌 못 때문에 고통하고 있다. 이 책을 읽고 마음에 박힌 못이 뽑힌다면 시간을 투자하여 책을 읽은 보람이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