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남다른 사람이 활짝 꽃 핀다 - 고정욱이 청소년에게 전하는 대안 메세지
고정욱 지음 / 율도국 / 2014년 4월
평점 :
이 세상에는 장애인이면서도 장애를 딛고 성공적인 인생을 사는 사람들이 많이 있다. 이 책의 저자 고정욱 동화작가도 어려서 소아마비를 앓아 1급 지체 장애인으로 휠체어를 타지 않으면 움직일 수 없지만 장애인과 더불어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한 결과 모 일간지의 신춘문예에 당선되어 데뷔하였고, 자신의 처지를 최대한 활용한 장애인을 소재로 한 동화를 짓기도 하여 많은 사람들에게 감동을 주었으며, MBC 방송국의 선정도서가 되기도 하였으며, 지금도 작가로, 강연자로, 교수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이 책은 청소년들에게 주는 에세이로 저자의 장애와 불굴의 의지, 그리고 사회적인 성공 등으로도 청소년들에게 본보기와 모델이 될 수 있는 요건을 갖추고 있으며, 청소년들에게 삶의 지표를 제시해 주고 있다. 작가 자신의 장애 이야기부터 가족 이야기, 독서 이야기를 통해 남다르게 사는 삶의 소중함을 일깨워주고 있다.
저자는 질문의 힘은 엄청나다는 점, 사소한 자리 하나로 인생을 다르게 사는 법, 문제 있는 사람이 답을 안다는 통찰, 상처가 아이디어의 원천이라는 것, 이 땅에 태어난 우리는 누구나 이유가 있다고 일러준다. 아무리 자신이 못 나고, 무능력하고, 장애를 가졌다고 해도 나름의 가치와 의미가 있다는 것이다. 책 속에서는 ‘이 세상에는 잡초는 없다. 단지 잡초 같은 생각만 있을 뿐이다’라고 말한다.
‘잡초’란 가꾸지 않아도 저절로 나서 자라는 불필요한 식물들을 가르친다. 잡초라고 부르는 풀은 용도를 찾아 내지 못한 풀일 뿐이라는 것이니, 그것은 풀의 문제가 아니라, 그 용도를 찾아 내지 못한 인간들의 탓인 것이다. 오히려, 잡초라고 분류된 풀들은 우리의 삶에 유용한 성분이 있거나 질병에 탁원한 효능을 갖고 있음이 많은 경우 발견되었다고 소개하기도 한다.
북극의 나방 유충은 짧은 여름에는 미친 듯이 먹이를 먹어 영양분을 축적하고 추운 겨울이 오면 나방 유충은 얼어붙는다. 그리고 봄이 오면 깨어난다. 얼었다 녹았다를 14번을 반복한 뒤 한 마리의 나방이 되고 짝짓기를 하여 새로운 알을 낳아 놓고 죽는다. 참고 기다린 나방에게 결국 화려한 한 번의 봄이 오는 것이다.
가끔씩 남과 다름을 못견뎌할 때가 있다. 특히 청소년기에는 외모와 성적으로 상처를 많이 받는다. 키가 작다는 것 때문에, 공부를 잘 하지 못해서, 집이 가난하다고 절망할 때가 있다. 하지만 마음을 조금만 바꾸면 감사한 일이 더 많고, 현실이 아무리 힘들어도 꽃이 피는 날은 오고야 만다는 따뜻한 메시지를 전해준다.
인권은 누구에게나 소중하다. 사람으로 살아가기 위해 마땅히 누려야할 자유의 권리, 나아가 한 공동체 구성원으로서 보장받아야 할 평등의 권리는 인권의 바탕을 이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권에 대한 오해와 편견이 아직 우리 사회 각 영역에 팽배해 있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이 책에서 저자는 소수자의 인권도 소중하다고 하면서 장애인, 동성애자, 혼혈인, 이주노동자, 트랜스젠더, 박재된 천재 등 그늘진 곳에서 남다르게 사는 사람들을 소중하게 여기게 될 때 이 사회는 저절로 살기 좋아진다고 강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