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 작은 것을 기다리는 시간 - 한 시골교사의 희망을 읽어내는 불편한 진실
황주환 지음 / 생각의나무 / 2011년 3월
평점 :
품절


우리나의 교육의 현실...
정말 이단어만 내뱉으면 씁쓸함이 절로 베어 나옵니다.
이들이 커가며 배워야 할것들은 인성이나 사회성이 아닌 오직 주입식 교육 뿐입니다.
책은 현재 교편을 잡고 있는 교사가 겪으면서 바라본 교육현실을 비판하는 책입니다.
지금의 아이들은 참으로 불쌍하다고 생각합니다.
언제나 칭찬받는 학습이 아닌 경쟁을 위한 학습.. 누구의 성적이 아닌 누구는 너보다더라고
비교당하는 그런 학습을 하기 때문인 것입니다.
늦은 시간까지 해야 하는 자율학습...
왜 자율학습이라고 하는지 나는 늘 궁금합니다..
이 자율학습을 원하는 아이들이 몇이나 될까요... 자율학습이란 명칭보다 타율학습이
더 잘 어울린다고 생각합니다.. 책상에 무한 앉아 있다고 공부하는 것이 아닌것을 왜 학교,교사만이 모르는 것인지...
아이들은 학교란 작은 사회에서 인성과 사회성을 배우기 보단... 사회속에서 더불어 화합을 하기보단 다른 친구를 밟고 올라서는 법을 먼저 배우는 거 같습니다.. 이는 꼭 학교 교사의 잘못만은 아닙니다. 집에서 부모님마저 아이들을 이렇게 가르치니까요... 아이가 시험이라도 보고 오는 날엔 아이의 노력에 비해 성적이 어떤가를 보는것이 아니라 누구는 몇점인데 라고 물어 보는 부모님..
솔찍히 당장 저또한 그런사람이기에 이런 글을 쓰는것도 부끄럽습니다..
내 아이의 미래성을 보지 못하고 당장에 급급하기에 아이들의 창의성과 미래성은 죽어 가는게 아닐까 생각 됩니다.  이것은 우리나라의 과잉 교육열이 만들어낸 결과일 것입니다.
독일의 경우 아이들에게 의자 주위를 돌다 신호와 동시에 의자에 앉는 게임을 하는데 게임을 시작후 의자에 앉는 아이는 없다고 하네요.. 그이유는 내가 앉으면 다른아이가 떨어 지기 때문에 앉을수가 없다라는 것입니다.. 우리나라에선 치열한 게임이였을텐데 말이죠..
지금의 우리의 교육은 조선조 신분제도와 그리 다르지 않다라고 저자는 말합니다..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주입식 교육과 경쟁교육으로 인해 풍요롭게 생활하며 배움의 기회가 
많은 학생들이 조은 대학을 가게 되고 조은 조건의 직장을 얹고 등등...
힘든 아이들은 열심히 해도 자연스럽게 뒤쳐지게 마련... 이렇게 되물림되며 도퇴되어가는 아이들은 자신을 현실을 부모를 비난하며 소위 문제아가 되기도 한다고 생각합니다.
무료 급식의 축소로 굶는 아이들이 늘어난 어느 학교에서 저자는 교장에게 이아이들을 구제할 방법을 제시했을때 교장은 그런아이들은 배가 더 고파봐야 노력할껍니다라는 비정한 말로 돌아 왔다고 합니다.. 참으로 어이없고 비정한 교육의 현실이라 생각 되어 갑니다.
이런 현실속에서도 작은 희망은 있겠지요..
아이들이란 참으로 순수하고 깨끗합니다..
작은 칭찬에 아이가 변하고 감동하며 힘을 얻는다고 합니다..
그것은 저도 공감합니다.. 선생님들께서 아이들의 가능성을 바라보고 아이들에게 칭찬과 격려를 아끼지 않는다면 아이들은 학교로 돌아 올것입니다. 학교를 창살없는 감옥으로 생각하지 않을꺼라 생각됩니다.  성적만으로 아이를 평가하지 않고 아이의 적성과 잘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개발시켜주는 학교..  진정 아이들에게 맞는 학교라 생각합니다.
그럴러면 아주 작은 것을 기다릴줄 알아야 하겠지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