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빅데이터, 승리의 과학 - 빅데이터는 당신이 무엇을 선택할지 알고 있다
고한석 지음 / 이지스퍼블리싱 / 2013년 4월
평점 :
품절
2012년 미국 대통령 선거 당시 버락 오바마 대통령 캠프는 1억명에 달하는 유권자 빅데이터를 분석했다. 설득 가능한 사람은 누구인지 분석하고 그 사람이 어느 골목 누구인지까지 알아내 선거에 활용했다. 이런 빅데이터 활용 전략은 그대로 적중했고, 오바마 대통령은 역사상 최초의 흑인 재선 대통령에 올랐다.
이 책은 IT에 기반을 둔 사회혁신과 데이터 마이닝에 관심을 가지고 집필활동과 강연을 하고 있는 저자 고한석이 2억 명이라는 역사상 가장 큰 데이터, 최고의 인재들이 동원된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오바마 진영이 어떻게 빅데이터 전략으로 승리할 수 있었는지 성공 요인을 논픽션 드라마를 보듯 재미있게 엮은 책이다.
오바마 캠프의 젊은 선거운동 본부장인 짐 메시나는 취임하자마자 “우리는 모든 활동을 숫자로 측정할 것”이라며 “악순환과 선순환은 데이터가 있는지 없는지의 차이”라고 말했다. 이 책의 저자는 이를 ‘데이터 리더십’이라고 칭했다.
빅 데이터란 기존의 데이터베이스나 아키텍처가 저장, 관리, 분석할 수 있는 범위를 초과하는 거대한 규모의 데이터 집합을 말한다. 빅 데이터는 그 안에 커다란 경제적 가치가 있는 ‘정보’를 담고 있으며, 이를 누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추출할 수 있느냐가 오늘날의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기업이나 국가 경쟁력의 중요한 요소다.
IT업계에 2~3년 동안 클라우드 컴퓨팅 바람이 거세게 불더니, 이제는 그 바람이 빅 데이터로 옮겨 붙었다. 내 노라 하는 글로벌 IT 기업들은 모두 빅 데이터 관련 비즈니스에 뛰어들고 있다. 전문가들은 빅 데이터가 정부와 기업의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킬 것이고, 빅 데이터를 활용한 새로운 비즈모델과 제품도 크게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그러나 내 생각은 좀 다르다. 빅 데이터는 분명한 대세이며, 우리 생활 모든 곳에 깊숙이 스며들 것이다.
이 책에서 저자는 “모든 조직은 특정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서 그에 동의하는 사람들이 모여서 만든 것이다. 기업은 제품과 서비스를 소비자들에게 팔아서 이익을 살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조직이고, 정당은 후보와 정책을 유권자들에게 알려서 그들의 표를 얻어 정권을 획득하고 정책을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조직”이라고 밝히고 있다.
과거 산업혁명에서 석탄과 철이 주요한 역할을 담당했던 것처럼, 지식 정보화 사회에서는 빅 데이터 분석능력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이다. 빅 데이터 분석능력이 부족한 국가는 선진국이라고 평가받기도 어려울 것이다. 우리 사회는 도래하는 빅 데이터 시대에 대해 어느 정도 준비하고 있는가. 사실상 준비돼 있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21세기 빅 데이터 시대에 우리나라가 선진국의 역할을 감당하고자 한다면 지금부터 준비를 서둘러야 한다.
이 책을 읽기전에는 ‘빅데이터’가 뭔지 잘 몰랐다. 이 책을 읽고 미국 대선의 빅데이터 활용 풀스토리로 미래 경영전략을 배울 수 있게 된 것은 여간 다행한 일이 아니다. 다만 기업이 처한 현실에서 데이터 리더십을 바로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팁이 제시되지 않아 아쉬운 점도 있다. 이 책이 기업에서 데이터로 판단하려는 합리적인 사람들과 빅데이터를 활용하려는 분들에게 가이드 역할을 할 것이므로 읽기를 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