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펙이라는 거짓말 - 직장인 1만 명의 행동평가를 통해 도출해낸 인재 보고서
오쿠야마 노리아키.이노우에 겐이치로 지음, 김정환 옮김 / 새로운현재(메가스터디북스) / 2013년 4월
평점 :
절판
요즘 구직난에 시달리는 청년층은 학벌과 학점, 어학 점수 등 소위 ‘스펙’ 쌓기에 치중하고 있다. 하지만 천편일률적인 스펙, 사회의 편견 등을 타파하고 ‘진짜 인재’를 찾기 위해 열린 채용 방식을 도입하는 기업이 늘어나고 있다. ‘학력보다 능력’ 중심의 채용을 위한 정부의 정책도 그 흐름에 한몫했다. 어학 점수, 자격증, 학점이 취업의 성패를 좌우하던 시대는 이쯤에서 안녕. 이제 핵심은 한 줄의 스펙 대신 자신의 능력과 열정을 보여줄 수 있는 그 무언가를 찾는 것이다.
이 책은 직장인 1만 명의 행동평가를 실시한 개념화능력개발연구소 주식회사의 대표이사이며, 조직을 배치하고 지원하는 데에 탁월한 직관을 가진 컨설턴트이자 평가자인 저자 오쿠야마 노리아키(奧山典昭)와 소니 뮤직 엔터테인먼트에서 제작과 영업, 프로모션을 담당하면서 전략 상품 개발을 주도하고, 조직 운영에서 인재의 중요성을 강하게 느끼고 조직을 성장시키는 인재 육성법을 집중적으로 연구해오면서 ‘사람을 알고, 사람을 키우며, 사람을 활용한다’는 모토로 기업체 교육과 연수를 실시하고 있는 이노우에 겐이치로(井上健一郞)가 높은 성과를 내는 진짜 인재들의 모습과 그들의 업무 법칙을 밝혀 오늘날 허울뿐인 스펙에 가려 빛을 보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어디에서든 환영 받는 다이아몬드로 성장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준다.
저자들은 스펙만으로는 정말로 일을 잘하고 업무력이 높은 인재를 찾을 수 없다고 단언한다. 흔히 유능함의 특징으로 받아들여지는 풍부한 지식과 경험, 신속한 행동, 뛰어난 프레젠테이션 능력 등은 실제 업무에 크게 활용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오히려 가진 지식과 경험만 사용할 뿐 새로운 정보를 만들어내지 못한다든지 숙고가 필요한 업무를 막무가내로 진행하는 등의 문제를 종종 일으킨다고 지적한다.
흔히 조직 내 인재라면 풍부한 지식과 경험, 긍정적 자세, 빠른 행동, 명랑하면서도 뛰어난 언변, 사교성 넘치는 태도 같은 것을 갖춘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두 저자는 10여 년간 1만명 정도의 조직원들을 관찰하고 평가한 결과 전혀 그렇지 않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그러면 대체 어떤 사람들이 일을 일답게 해서 조직을 혁신시키는가.
진짜 인재들은 화려한 스펙이 아닌 ‘업무력’을 갖추고 있었다. 바로 ‘사고하는 힘’ ‘조직을 위해 기꺼이 움직이는 힘’ ‘유효한 정보를 모으는 힘’ ‘자신을 높이는 힘’이 바로 그것이다. 이 네 가지 업무력이 높으면 높을수록 유효한 성과로 이어진다. 결국 오늘날 회사와 직장인에게 가장 시급히 요구되는 능력이 바로 업무력이다. 업무력이 높은 사람이 직장에서 승승장구하는 운명을 타고난다.
저자들의 결론은 업무의 완성도 그 자체에 집중하는 사람이다. 이들은 다른 외향적인 것에 신경 쓰지 않고 일 그 자체만 생각한다. 무슨 일이든지 자신들이 맡은 일을 책임감 있게 완수하려고 하다 보니 다른 것에 신경 쓸 여유가 없다. 남들에게 잘 보일 생각도 하지 않고, 남에게 어떻게 비쳐지는지, 나에게 어떤 오해가 있는 것은 아닐까 하는 걱정도 하지 않는다. 모든 조직의 성패는 ‘업무력’이 강한 사람을 지켜주고 발굴해 적재적소에 배치하는 데 달렸다고 본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나 자신을 살펴보니 그동안 화려한 스펙을 쌓기 위해 동분서주 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지금 비소로 나에게는 스펙이 아닌 진짜 능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