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른다섯의 사춘기 - 사랑, 일, 결혼, 자신까지 외면하고픈 30대의 마음 심리학
한기연 지음 / 팜파스 / 2010년 2월
평점 :
절판
삼십대 중반이라면 대학을 졸업하고 취직을 하고 자신이 주체가 되는 삶을 어느 정도 살았고, 경제적으로도 독립을 이룰 나이이다. 또한 자신의 능력이 무엇인지를 확인해보기도 하고 한계를 경험하면서, 앞으로의 인생을 그냥 갈 것인지, 어떤 방향 전환을 모색할 것인지를 결정해야 하는, 또 결정할 수 있는 마지막 연령대이기도 하다.
이 연령대는 이미 결혼을 했거나 아직 못했을 수도 있으며, 한 번 실패를 경험하고 다시 혼자가 되어 있을 수도 있다. 그러나 그 어떤 경우에도 사랑은 늘 쉽지 않다. 사랑을 시작하는 것이 두려워서, 시작은 했지만 어려워서, 그렇게 끝나버린 사랑이 아파서, 눈물을 흘리며 괴로워한다. 삶 전체가 힘들어 고통스럽다. 그녀들은 스트레스를 감당하기 어려워 점집을 찾아가고 하소연을 받아주는 점쟁이가 카운슬러 노릇을 해주고 있다.
저자는 “당신이 지금 이렇게 힘든 것은 무엇을 잘못해서가 아니라는 것, 올바른 생각과 긍정의 용기로 힘껏 나아간다면 지금까지와는 다른 세상이 기다리고 있다는 것, 앞으로 기회는 많이 있으며 아직도 충분히 젊고 아름다운 나이라는 것을 말해주고 싶었다.”고 한다.
이 책은 서른다섯이 두려운 삼십대의 마음을 심리학적인 관점에서 살펴본다. 이 책에는 임상심리학자인 저자를 믿고 찾아온 내담자들의 진솔한 이야기가 담겨 있다. 전체 내담자들 중 40%에 달하는, 서른 두셋에서 서른 예닐곱까지의 이른바 삼십대 중반 여성들의 솔직담백한 이야기가 중심을 이룬다. 용기 있는 이들이 털어놓은 이 이야기들을 가만히 살펴보면 결국, 우리 모두가 매일같이 하고 있는 고민들이며 힘들어하고 아파하는 것들이다.
인생에 있어서 서른다섯 살 전후는 공자의 말을 빌리자면 이제 이립(而立)을 넘어 불혹(不惑)을 향해 가는 때이다. 공자는 [논어] 위정편에서 “나는 나이 서른에 뜻이 확고하게 섰다”는 뜻의 이립(而立)을 밝힌 바 있다. 현대식으로 의미를 부여하자면 서른 살에는 스스로의 힘으로 살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는 것이다. 그런데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20대 태반이 백수라는 뜻의 ‘이태백’부터 38세면 퇴직을 해야 한다는 의미의 ‘삼팔선’과 88만원 세대까지 세태를 풍자하는 신조어에서 보듯 사회를 견인해야 할 청년들은 한창 궁지에 몰려 있다.
이 책은 모두 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은 ‘서른다섯이 두렵다’이다. 여자 나이 삼십대란 인생에 더 이상의 리허설은 없으며, 오로지 날마다 막이 오르기로 되어 있는 무대 뒤에서 경험하는 긴박감만이 있다. 2장은 ‘사랑, 참 어렵다’이다. 우리는 존재하지도 않는 사랑에 대해 이야기 한다. 숨겨진 사랑이라는 보물을 가지고 있으며, 그 사랑이 모든 것을 변화시킬 수 있다고 믿는다. 3장은 ‘일, 인생의 목표라 하기엔 너무도 서글픈’이다. 일에서 인정받고, 사람들 사이에서 자존심을 유지하고 무시당하지 않으면서 살라는 것이다. 4장은 ‘내 안의 나를 발견해야 할 때’이다. 스스로가 평범한 감정과 생각을 지닌 인간임을 허용해야 한다. 5장은 ‘결혼, 꼭 해야 할까’이다. 결혼은 동무를 만들어 인생을 함께 걸어가는 것이다. 6장은 ‘내 인생에 입 맞추기’이다. 삶이 힘들어도 마음 속 깊은 곳에 영혼을 성장시키고 절망의 구렁텅이에서 구원해주는 생명력이 내 안에 있다는 사실을 기억하자.
내가 이 책을 읽으면서 느끼게 되는 것은 이 책이 서른다섯의 사춘기를 겪고 있는 사람들에게 네비게이션과 같은 역할을 하는 것 같지는 않다. 하지만 지혜롭게 사춘기를 이겨낼 수 있도록 도와주는 안내서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을 서른 두 셋에서 서른 대 여섯까지의 삼십대 중반 여성들이 읽으면 많은 도움을 받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