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바보 빅터 - 17년 동안 바보로 살았던 멘사 회장의 이야기
호아킴 데 포사다.레이먼드 조 지음, 박형동 그림 / 한국경제신문 / 2011년 3월
평점 :
품절
300만 한국 독자들의 삶을 변화시킨 베스트셀러 [마시멜로 이야기]의 작가 호아킴 데 포사다의 신작 [바보 빅터]를 읽을 수 있는 기회가 와서 얼마나 행복했는지 모른다. [마시멜로 이야기]와 [마시멜로 두 번째 이야기]를 통해 ‘특별한 오늘’을 만끽할 수 있는 삶의 지혜를 제시하며 한국의 독자들에게 깊고 강한 인상을 남긴 그가, 이번에는 국제멘사협회 회장을 지낸 천재 실존 인물인 ‘빅터’가 17년 동안 바보로 살았던 실제 삶을 바탕으로 우리의 인생에서 가장 ‘위대한 진실’을 이야기한다.
이 책은 국제멘사협회 회장을 지낸 천재 ‘빅터 세리브리아코프’가 17년 동안 바보로 살았던 실제 사건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펼쳐낸다. 또 다른 주인공 로라 역시 못난이 콤플렉스 때문에 힘겨운 삶을 살았던 사연을 오프라 윈프리 쇼에 출연해 고백한 ‘트레이시’라는 여성의 이야기를 통해 이 시대 모든 이들이 살면서 겪게 되는 아픔과 고통을 이겨내고 희망찬 미래를 열어갈 수 있는 용기와 자신감을 전한다.
요즘 우리 주위에 열등감을 갖고 있는 사람들을 보게 된다. 특히 타고난 조건에 대한 사례들을 많이 만나게 된다. 눈이 지나치게 크거나 작거나, 키가 크거나 작거나, 또 다른 외모에 대해 열등감을 갖는다. 우리가 태어나면서 부모와 집안을 선택할 수 없는 것처럼 타고난 외모나 조건 역시 선택할 수 없는 사항들이지만 이러한 선천적인 조건들 때문에 고통을 받는 사람들이 의외로 많다.
여섯 살 때 아동 상담센터에서 인지력이 떨어지고 언어장애가 의심된다는 이야기를 듣게 된 빅터, 열다섯 살 때 아이큐 검사에서 73이라는 점수를 받게 된다. 빅터는 바보라고 놀림을 당하고, 스스로도 자신을 아무 것도 할 줄 모르는 바보라고 생각하며 살아간다. 그리고 빅터의 동창인 로라는 어린 시절의 아픈 기억을 알지 못한 채 ‘못난이’로 살아간다. 둘은 세월의 흐름 속에서 레이첼 선생님을 통해 계속적인 인연을 가지게 된다. 레이첼 선생님은 자신을 믿으라고 하지만 빅터와 로라는 자신들을 바보로 여기며, 어떤 일도 해낼 수 없다고, 행복할 자격도 없다고 생각한다.
이렇게 늘 부정적 사고로 살아가는 로라, 어느날 오프라 쇼에 출연하게 되었고, 암기왕 잭을 만나게 되고, 레이첼 선생님을 통해 다시금 일어서는 삶의 계기를 만들게 되었다. 아무리 뛰어난 재능을 지닌 사람도 자신을 과소평가하면 재능을 펼치지 못한다. 자신이 말굽밖에 될 수 없다고 생각하면 말굽밖에 되지 못하고, 바보라고 생각하면 진짜 바보가 되는 것이다.
이 책은 딱딱한 이론과 논리에 지친 현대인들에게 소설형식을 빌려 따뜻한 감성을 불러일으킬 뿐만 아니라 인생을 변화시킬 수 있는 교훈을 준다. 급변하는 시대를 살아가는 이들이 아픔과 고통을 이겨내고 미래를 향해 나아가는 주인공들의 모습을 통해 우리 인생에서 가장 소중한 것을 깨우치게 되고 다시금 용기와 자신감을 얻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