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심리학의 쓸모 - 결국 우리에겐 심리학이 필요하다
이경민 지음 / 믹스커피 / 2020년 12월
평점 :

주변 지인들이 갑자기 세상을 떠나고, 불편함 느끼지 못하던 몸에 하나 둘 이상이 생기기 시작하면서 참 마음이 많이 흔들렸었다. 그러다가 심리학 책을 다수 읽어 보게 되었고 다행히도 이를 통해 위안을 받고 스스로 추스를 마음의 힘도 얻을 수 있었다. 그런데 이번에는 심리학 개념들 중에서 핵심만 엄선한 책이 나왔다고 해서 <심리학의 쓸모>를 만나보게 되었다. 심리학이라는 학문의 전체를 대략적으로 보고 싶었달까.
이 책의 저자 이경민 님은 상담심리지도사 1급·진로진학상담사 2급을 보유한 심리상담가로, 현재 서울시 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 보드미에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상담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한다. 지레짐작일 수도 있겠지만 결혼 후 전업주부로 지내다가 스스로의 마음 상태를 파악하고 '나'에 대해 탐구한다는 마음으로 상담 심리를 공부하기 시작했다는 이력이 뭔가 찡하게 마음을 울리는 부분이 있었다.
가족들을 살피고 그들의 감정 변화를 신경 쓰며 지내왔지만 정작 '나' 자신의 감정 상태는 생각할 여유가 없었습니다. 이후 스스로의 마음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다른 누구도 아닌 온전히 '나'에 대해 탐구한다는 마음가짐으로 상담 심리를 공부했습니다. 내 안에 덜컹거리고 있는 것들을 찾아내기 위해 노력했고, 온전히 자신의 마음과 마주하자 마음을 힘들게 하던 아픔이 조금씩 치유되기 시작했습니다. -6쪽
책은 그야말로 심리학의 전반을 알려주고 있었다. 마치 개론서 같다는 느낌이었는데, 때문에 깊이가 있다기보다는 심리학에서 다루는 분야에 어떤 것들이 있으며 이를 어떤 방향으로 다루는지 등을 크게 크게 파악할 수 있는 책이었다. 상담하듯 마음을 다독여주는 류의 책이 아닌 심리학의 지도 같은 책~!
예를 들면 책은 심리학의 다섯 가지 관점을 비교하는 것으로 시작하는데, 생물학적·정신분석학적·행동주의적·인지주의적·인본주의적 관점이 있으며 우리가 흔히 접하는 분석심리학, 개인심리학 등은 정신분석적 접근에서 발전한 것이며, 스키너의 상자 실험 등은 행동주의적 접근 방식이라 하는 식이었다.
때문에 심리학 전반에 대해 그림을 그려볼 수 있어서 좋았고, 만약 개론서를 찾는 사람들이 있다면 권해주기 좋겠다는 생각을 해 보았다.
중간중간 놀라운, 인상적이었던 부분도 발견할 수 있었는데 '성격은 유전되는 것일까, 환경에 의한 것일까?', '지능의 발달'의 '유전 vs. 환경' 등이 그러했다. 그중에서 가장 인상적인 부분은 '마음챙김이란 무엇인가?'였다.
마음챙김(mindfulness)은 일상에서의 스트레스, 불안정한 심리 상태를 극복하는 데 효과적인 방법으로, 마음챙김 연구가 존 카밧진 박사는 이를 '의도적으로, 지금 이 순간에, 비판단적으로, 특정한 방식으로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라고 정의했습니다. 마음챙김의 과정에서는 명상을 하며 신체 감각이나 감정 상태를 바라봄으로써 현재의 순간을 있는 그대로 수용하게 합니다. -293쪽
특히 이 마음챙김은 우리가 일상에서도 행할 수 있는 것이어서 좋았는데, 10분 이상 침묵 속에서 발에 느껴지는 감각에 집중하거나 호흡의 변화에 집중하면서 걷는 걷기명상, 먹는 과정에서 씹는 식감을 느끼거나 관찰하는 먹기명상 등이 소개되어 있어 기억에 크게 남았다. 나름 스트레스를 잘 받는 경향이 있어 외부 활동보다는 혼자 지내는 것을 선호하는 편이었는데 이런 방식으로 스트레스를 조절하는 노력을 해 봐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심리학 개론서로 심리학에서 다루는 것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큰 틀을 잡아볼 수 있는 책이면서도 또 이렇게 지혜를 얻을 수 있었던 <심리학의 쓸모>. 덕분에 굉장히 어렵고 심오하다고 느꼈던 심리학이 뭔가 훨씬 쉽게 다가오는 느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