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성 박사의 식탁보감 1 이재성 박사의 식탁보감 1
이재성 지음 / 소라주 / 2019년 4월
평점 :
품절




'내가 먹은 것이 내가 된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그야말로 먹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알려주는 말이지요. 젊을 때야 별로 느끼지 못하다가 한 달에 한 번씩 돌아오는 제사로 인해 식습관이 무너지고 건강이 무너지면서 저는 최근 몇 년간 건강한 몸을 만들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해 왔어요. 그러면서 현대인의 몸에 위협을 가하는 음식들이 어떤 것이 있는지, 또 어떤 식재료를 어떻게 섭취하는 것이 좋은지에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지요. 


​<식탁보감>의 저자는 그동안 매스컴을 통해 많이 접해온 따뜻하고 부드러운 이미지의 한의학 박사 이재성 씨입니다. 책을 통해 뒤늦게 <라디오 동의보감>과 네이버 오디오 클립의 <식탁보감>의 존재를 알게 되었는데요. 이 책은 라디오가 아닌 책으로 보는 <식탁보감>편이 되겠습니다.


​관심 가는 부분부터 먼저 봐야지라는 생각으로 '근육을 늘리는데 좋은 과일 껍질은'편을 보기 시작했는데요. 어쩜 글투도 이재성 박사의 말투와 그리 닮았는지, 자상하고 쉽게 그리고 재미있게 읽을 수 있어 도저히 책을 중간에 놓을 수가 없더라고요. 그래서 얼른 앞부분 안 읽고 넘어간 것도 아쉬워 다시 처음부터 순식간에 읽어나간 책입니다. 


​이재성 박사는 어떤 음식이 어디에 좋다는 말을 건조하게 표현하지 않아요. 깻잎, 사과 껍질, 프락토올리고당, 김치의 유산균, 숙취해소법, 비염, 감기에 좋은 음식, 치매, 올리브유 등 다양한 식재료와 음식에 대해 알려주면서, 더불어 질병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식재료와 그 효과적인 섭취법까지 알려주고 있는데요. 기억하기 좋게 재미난 이야기를 곁들여서 이야기하고, 종종 과학적 설명을 덧붙이기도 해요. 그리고 한 번에 몽땅 알려주는 것이 아니라 부담스럽지 않게 뇌에 과부하 걸리지 않도록 하나씩 차근차근 알려줍니다. 


​덕분에 어릴 때부터 자주 먹어서 거부감이 없던 결명자는 꼭 볶아서 사용해야 한다는 것도 알게 되었고, 고사리도 왜 제사 때마다 그렇게 수고스럽게 긴 시간 불렸는지 알겠더라고요. 그리고 그동안 들깨가루를 즐겨 이용했는데 통후추처럼 알맹이째 사서 갈아먹어야겠다는 생각도 들었고, 일본 원자력 발전소 사고 이후 조금은 멀리하던 수산물 중에서도 다시 작은 등 푸른 생선류는 꼭 자주 챙겨 먹어야겠다고 느꼈습니다.


​먹지 않고는 살 수 없듯, 식재료나 음식은 누구나 관심을 가지는 주제일 텐데요. 그럼에도 소설만큼이나 재미있게 읽을 수 있어서 참 좋았습니다. 덕분에 읽으며 자주 접하는 식품에 대해서는 좀 더 과학적으로 이해하게 되었고, 잘 접하지 않는 식품에 대해서는 새로이 관심을 가지게 되기도 했는데요. 요리책을 한 번 읽고 덮어두는 것이 아니라 익숙해질 때까지는 자주 들춰봐야 하듯, <식탁보감>도 자주 들여다보면서 좋은 습관을 하나씩 늘려 가도록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