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AI와 공부한다 - 우리가 알고 있는 교육의 종말
살만 칸 지음, 박세연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류의 존재적 위험이 될 수도 있고, 존재적 기회도 될 수 있는 AI.

기술과 혁신에서 지금의 도약을 두려워할 수도 있고, 희망을 품을 수 있다.

하지만 어떻게 사용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적극 참여하는 것은

공공의 이익에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챗GPT

들어서 익숙하지만 아직 접해보지 못한 사람도 많고, 몇 번 쓰다가 포기(?) 하는 사람도 있는데요

디지털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 아이들에게는 챗 GPT를 활용할 수 있는 학습은 꼭 필요한 거 같아요.


다가오는 2025년 중1 학년부터  

디지털 교과서를 도입 한다고 학교에서  안내문이 와서 

디지털 교과서가 어떤 부분에서  좋은지  두루두루 살펴보니

AI 개인 맞춤 수업이 가능하다는 말에  귀가 솔깃해지더라고요.


세계 여러나라에서  무료로 강의를 개설한  '칸 아카데미'의 창립자 '살만 칸'은 

VOD 영상을 통해 전 세계 수억 명의 학생들에게  도움을 주고 있는데요

그는  영상 기술은 교사의 자리를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교사의 부담을 덜어주고 

맞춤형 학습이나 체험 활동, 토론 수업을 진행하기 위한 시간적 여유를 제공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고 해요.  


VOD 영상의 효과를 이제 생성형 AI를 통해 얻을 수 있을 거라는 기대에 찬 '살만 칸'은

<나는 AI와 공부한다>에서  무수히 많은 분야에서 독보적인 발전을 이끌고 있는 AI에 대해 이야기 합니다.

발전된 '생성형 AI'의 경우 부정적인 측면이 있는 동시에 긍정적인 측면이 있는데

부정적인 측면을 살펴보면,

거대 언어 모델로 학생들의 작문 숙제를 대신해 줄 경우

학생은 스스로 숙제를 하지 않을 수도 있고, 작문 실력도 늘지 않을 수 있어요.

교사는 개인 교사로 활용되는 AI 때문에 강의 기술을 개발하지 않을 수도 있고

부모는 아이의 숙제를 돌봐주며 형성했던 연결고리가 끊어질 수도 있는 문제점에 대해 이야기 해요.



하지만 긍정적으로 활용할 경우 

발전된 '생성형 AI'가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유도 질문을 한다거나

오래된 난제에 대해 해결책을 내어 놓는 경우,  인간의 지능이나 잠재력을 강화 시킬 수 있도록

학습시킬 수 있다는 면에서 높이 평가하고 있어요.


'살만 칸'은

인간과 AI가 상호작용하면서 더 의미 있고 복잡한 대화를 이끌어 갈 수도 있고,

훨씬 더  창의적인 생각을 펼칠 수 있다는 기대를 가지고

전 세계 모든 아이들이 기술을 활용해 학습하고 교육을 받는다면  더 나은 미래로 발전할 수 있을 거라는 것을

<나는 AI와 공부한다>에서 말하고 있어요.


다수 대 개인의 학습 상태는

개개인의 학습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지만 AI 개인 맞춤 학습은 AI 대 개인이기에

개인의 능력 상태에 따라 학습을 조율하면서 더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답니다.


'지피지기면 백전백승이다'

AI가 우리에게 끼칠 악영향에 주목하는 것보다

AI가 가져다줄 발전된 기술과 미래에 주목한다면 

AI를 현명하게 활용하면서 더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 않을까 해요.



이 밖에도 살만 칸은

전반적인 교육 부분에서의 AI 활용과 미래로 나아가기 위해 필요한 AI 교육 그리고 일자리와 미래 전망을 

<나는 AI와 공부한다>에서 깊이 있게 이야기 나누고 있답니다.



본 서평은 도서를 지원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