큐브 창비교육 성장소설 13
보린 지음 / 창비교육 / 202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와 함께 청소년 소설을 즐겨읽는 편인데요

읽을 때 재밌어서 술술 넘어가고,

아이와 함께 얘기도 나눌 수 있어서 좋더라고요.


이번에 아이와 함께 읽은 청소년 성장소설은

창비출판사의 <큐브>인데요

 아이가 가끔 "나만 혼자인 거 같아", "공부는 왜 하는 건데?"

라는 질문을 할 때 책 속에서도 답을 찾을 수 있는 책이었어요.


'어느 날 문득 자다 보니 나만 다른 세상에 툭 떨어진 느낌.

어디를 향해 달리는지 모르고 달리다 문득 나를 돌아볼 때의 느낌.'

그 느낌을 받을 때 읽으면 좋을 내용이에요.


<큐브>

고등학교 3학년인 연우.

우리나라의 입시생답게 독감에 걸려도 교실에 있어야 하는 아이.


매미가 쨍쨍 우는 어느 여름.

"당신은 채집되었습니다."

갑자기 학교에서 자다 투명한 막이 쳐진 큐브에 갇혀 혼자 지내게 된 주인공 우연우.



큐브 세상에서 자신의 의식은 통제되고, 창밖엔 운동장이 아닌 지구가 보이는 세상.

먹을 것이 자동으로 해결되고, 자고 나면 모든 것이 처음의  상태로 돌아오는 큐브.



마치 연우가 현실 세계에서 즐기던 게임 '굶지 마'의 세상처럼

죽으면 처음부터 다시 시작되는 게임 같은 연우의 큐브 세상.


내가 할 수 있는 게 없는 갇힌 세상. 



큐브 세상에서 현실로 돌아왔지만 채집된 큐브 속에서  복제되었던 자기 자신인 자아와 함께 돌아오게 된 연우는

안정을 위해 의식을 통제했던 큐브의 세상처럼 함께 돌아온 자아와 함께해야 안정감을 찾게 되지만

마치 이 하늘 저 하늘을 날아다니는 흑고니들을 추적하고 포획해 조사한 후 놓아준 거 같은 처지에 놓인 연우.





내가 좋아했던 물건,  나에게 익숙한 환경.

익숙함이 주는 안정감. 좋아했던 물건을 통한 자아.

연우가 경험한 큐브의 세상은 마치 우리 아이들이 느끼는 지금의 세상이 아닐까라는

생각이 들었는데요.


무의식의 힘.

현실에서의 불안감이 빚어낸 큐브 세상을 통해

주인공 연우가 한 뼘 자라난 것처럼

우리 아이들도 큐브를 통해 한 뼘 자랄 수 있는 이야기.


"수학은 단순하고 명확하다.  한 줄을 풀면 다음 줄로 넘어간다. 

그렇게 하다 보면 답이 나온다.  보기 중에 정답이 없는 경우는 없다.

보기 중에 답이 없으면, 보기를 추가하면 되지 않을까?"


새로운 보기를 추가할 용기와 또 다른 세상에서의 희망을 찾을 수 있는 아이로

자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가족의 존재. 

내가 진정 바라는 나의 모습은 무엇일까를 묵직하게 생각해 보게 되는

<큐브>는 마치 공상영화를 보는 듯한 느낌이 들어

읽기 시작하면 손에서 놓을 수 없는 마력의 성장소설이었답니다.





겨울 방학.

나를 돌아보는 시간을 가지고 싶은 청소년들에게 적극 추천합니다.




본 서평은 도서를 지원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