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의 피부 - 나의 푸른 그림에 대하여
이현아 지음 / 푸른숲 / 2022년 7월
평점 :
품절


색채심리학에서 파란색은 많은 것을 내포한다고 한다. 파란색 계통의 색은 111개나 된다고 한다. 그중 23가지의 파란색이 의미를 담고 있다고 하는데 파란색은 때에 따라서 평화와 안정감을 나타내기도, 우울과 불안, 죽음을 내포하기도 한다. 그래서일까 파란색을 찾는 이는 관심을 갖고 지켜봐야한다는 말도 일각에서는 있다고 한다.

그런 파란색을 좋아한다. 바다에서 멍하니 지켜볼때도, 햇살이 덜 따가운 가을이나 겨울 동네 공원 정자에 누워서 하늘을 바라보는 것도 좋아했다. 저자역시 그러한듯 하다. 글을 써내려가고 싶지만, 무엇을 쓸지 모르겠고 어떻게 써야할지, 좋은글에 대한 부담감이 있던 저자는 마음에 드는 그림들을 찾아 내고 그 그림을 멍하니 바라보며 그림일기를 써내려갔다.

그러다가 발견한 색, '파랑'. 저자의 선택을 받은 그림들은 파랑색이었고, 그림을 보며 풀어내려간 저자의 이야기도많은 것을 담고 있는 색, 파랑처럼 다채로웠다. 책은 4가지 챕터로 구성되어 있다. 1장 유년, 2장 여름, 3장 우울, 4장 고독. 그림을 통해 메세지를 전했던 기존의 책들이 거장들의 그림을 비롯해 따뜻한 채도의 그림들을 내세워 밝은 메세지를 전했다면, 저자는 현대 작가들의 '파란'그림들을 통해 위로인듯 아닌듯 무심히 그리고 따뜻하게 위로의 메세지들을 전달하고 있다.

에드워드 호퍼, 조지아 오키프, 던컨 한나, 빌헬름 하메르스회와 같은 여러 작가들의 그림을 통해 본 색 '파랑'. 저자는 그 찬란한 색에 대하여 '공간과 그늘이 존재하는 물러남이 있는 색'이라 정의내리고 있다. 그래서 제목이 '여름의 피부'인 것일까. 여름 역시 찬란한 태양빛과 함께, 많은 기억을 간직하는 계절이기에, 파랑과 상통하는 계절이기에 그 의미들이 와닿아서 제목이 '여름이 피부'인건지 감히 추측해본다.

* 네이버 북카페 몽실북클럽을 통해 책을 무상으로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광개토태왕 담덕 1 - 순풍과 역풍
엄광용 지음 / 새움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는 법을 잃어버린 당신에게 - 그림책 심리학
김영아 지음 / 쌤앤파커스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근에 친하게 지내던 동생의 허심탄회한 이야기를 들었다. 'K-장녀'로 시작해서 'K-장녀'로 끝나는 이야기. 나만 갖고 있었을 줄 알았던 쌍팔년도 드라마틱한 스토리가 그 동생의 입에서 술술 튀어나왔고, 누구나 다 그렇게 살겠지로 귀결됐지만 슬픈현실이었다. 그 '누구나' 앞에서는 웃으면서 살지만 속으로는 사표를 천번은 썼을 것이고, 욕을 몇 만번을 참았을 것이고, 그렇게 살아가야 한다는 현실이 우리가 학교에서 배우던 '이상적인 사회'와 '현실 사회'의 간극은 너무 컸기때문이다.


그래서인가 책의 제목이 눈에 와닿았다. '우는 법을 잃어버린 당신에게'. 최근들어 떼쓰는게 많아진 딸에게도 '울면 안되요, 예쁘게 말하세요~'라고 말하지만. 우리는 몇 십년을 살아오면서 목놓아 운적이 과연 몇 번이나 될까. 한국사회에서 '눈물'은 부정적인 이미지로 많이 비춰진다고 한다. 아들로 태어난 자들은 인생에 3번 울어야 한다고 하고, 여자가 울면 회사에서 눈물바람의 정치를 한다고 손가락질을 받는다. 그런 문화속에서 우리는 울고 싶어도 울지 못하고, 사회에서 '존버'하면서 스스로를 억압한 적은 몇 번일까. 저자는 바쁜 사회를 살아가면서 내면 속에 또다른 자아를 억누르며 간신히 버텨온 우리들에게 6명의 심리학의 거장들의 이야기와 함께 여러 그림책들을 추천한다.


심리학의 3대 거장으로 불리우는 프로이트, 융, 아들러와 더불어 앨리스, 게슈탈트, '죽음의 수용소'로 유명한 빅터 프랭클까지. 이들의 이론은 여타 다른 심리학 책을 통해서도 충분히 접할 수 있을것이다. 특히나 프로이트나 융, 아들러에 대한 심리학 개론서는 대중들이 접하기 쉽다. 하지만 '그림책'을 통해서 본 이들의 이론은 남달랐다. 흔히 그림책이라 하면 글밥이 적은 아이들이 보거나, 영유아들에게 책읽기 습관을 길러주기 위한 단계라고 치부하기 쉽다. 나 역시도 어른이되어 그림책을 찾아본 적은 없다. 하지만 저자의 이야기를 통해 그림책에 담겨진 메시지들을 생각하고 나니, 그림책. 이 가벼운 존재는 결코 가벼운 존재가 아니었단걸 알게 되었다.


읽고자 한다면 10분만에 다 읽어버린 얇은 책들. 그 책들 사이에서 심리학의 메시지를 읽어내고, 그를 통해 나 자신을 치유해가는 과정이 결코 쉽지는 않을것이다. 오히려 여기에 무슨 메시지가 있단 말인가 통탄하는 과정도 포함되어버릴지도 모른다. 다만, 프롤로그에서 저자가 읊조린 것 처럼 그 책들 사이에서 내 영혼이, 우리의 영혼이 치유를 받는다면 그 한 순간을 위해 우리는 책을 집어들 것이고 그 순간을 위해 그림책은 존재하는 것이 아닐까. 우리의 숨겨진 자아는 그림책의 순수한 영혼을 통해 치유의 힘을 얻을 것이다.


저자가 왜 이번 책에서 '우는 법'과 '그림책 심리학'이라는 두 가지 키워드를 꼽았는지 작게나마 추측하며 간만에 꽉찬 책읽기를 한 순간이었다.


*네이버 북카페 '몽실북클럽'을 통해 출판사로부터 책을 무상으로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글입니다.


#우는법을잃어버린당신에게 #김영아 #쌤앤파커스 #몽실북클럽 #몽실서평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트라우마 - 가정 폭력에서 정치적 테러까지
주디스 허먼 지음, 최현정 옮김 / 사람의집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선하기도 하지만 악의 최대치를 보여줄수 있다는 인간. 그들의 행태로 남긴 장애들은 우리를 어떻게 변화시킬것인가. PTSD 더이상 의학적 용어에 멈출게 아닌 그 속을 파헤쳐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불안의 철학 - 실체 없는 불안에 잠식당하지 않고 온전한 나로 사는 법
기시미 이치로 지음, 김윤경 옮김 / 타인의사유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이 살아가면서 느기는 대표적인 감정은 희노애락이라고 한다. 기쁨, 분노, 슬픔, 즐거움 4가지 감정과 더불어 우리와 뗄레야 뗄 수 없는 감정 은 바로 '불안'일 것이다. 불안을 일으키는 요소는 많은 것들이 있다. 집안에서, 회사에서 등. 관계의 홍수 속에서 살아가는 우리에게 온갖것들은 불안을 만들어내고 우리는 그 불안 속에서 살아간다. 아들러 철학의 대가, 기시미 이치로는 이러한 불안의 원인을 통해 실체를 파악하고 어떻게 우리가 살아가야 하는지 읊어낸다.

불안은 실체가 없다. 흔히 극도의 불안은 공포를 조성한다고 하지만 생각해보자. 공포의 대상은 우리가 무엇이라고 가시적인 존재를 생각할 수 있지만 불안은 그렇지 않지 않다. 회피하고 싶은 대상에서 생겨난 불안은 우리를 멈추게 만든다. 다만, 생각해 볼 것은 우리는 알 수 없는 미래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으로 결정을 미루기 위한 원인으로 불안감을 꼽는 것일까, 아니면 정말 '불안'하기 때문에 그런것일까.

최근의 인류사회 속 대표적인 불안 요소는 '팬데믹'을 들 수 있을 것이다. 지구의 역사상 몇번의 팬데믹이 있었으나 전 세계적으로 무방비한채 당한 팬데믹. 주변에서 다 걸려서 안걸린 사람은 오히려 '비사회적'이라는 농이 생겨날 정도로 퍼졌던 가운데 우리는 코로나에 언제 걸릴지 모르는 두려움 속에 살아왔다. 일상을 영위하기 위해 밖으로 나가지만 언제, 어디서 코로나에 걸릴지 모른다는 가능성은 불안과의 공존을 보여준다.

특히 저자가 꼽은 여러가지 불안요소중 '대인관계'가 와닿았다. 사람은 사회적인 동물이기에 대인관게 없이 살아갈 수 없는 존재이다. 서두에 밝혔든 관계의 홍수 속에서 살아가며 우리의 고민은 시작되고 고민은 자라 불안이 된다. 더군다나, 사회는 우리에게 '만능'을 요구하며, 타인과의 비교를 자초하게 되고 그 사이에서 우리는 스스로를 비판하며 깎아내리는 모습을 자주 발견한다. 이러한 불안 속에서 우리는 어떻게 살아가야 하나.

저자는 이런 우리들에게 '나다울 것'을 주문한다. 어떻게 보면 명백하고, 논리적이고, 쉬운말이고, 우리가 알 고 있던 명제. 하지만 실천하기 제일 어려운 명제인 '나 다울 것'. 오히려 자기만의 기준을 정립하고. 그 기준에 맞추어 충실하고 지금을 산다면, 저자는 불안이라는 실체에 대해 맞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한다.

누구나 머릿속으로는 알고 있지만, 실현은 쉽지않은 카르페디엠. 오늘을 즐기며 살라는 이 한마디가 저자의 결론과 와닿지 않나 생각한다. 과거에만 머무르며 우리는 불안속에 좌초될 시간이 없다. 우리의 앞에 더 많은 시간이 있기에. 불안이라는 추상적인 존재에 발묶여 깊은 늪으로 빠지지 않길 바라는 저자와 아들러의 결을 느꼈다.


#불안의철학 #기시미이치로 #타인의사유 #리딩투데이 #북적북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