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경궁 동무 푸른숲 어린이 문학 5
배유안 지음, 이철민 그림 / 푸른숲주니어 / 201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창경궁 동무




이 책을 살펴보기 전에..


저자 배유안은

밀양에서 태어나 부산에서 자랐다. 2006년에 《초정리 편지》로 창비좋은어린이책 대상을 받으며 첫 책을 낸 이후, 동화와 청소년 소설 창작의 즐거움에 빠져 있다. 《스프링벅》《콩 하나면 되겠니?》《분황사 우물에는 용이 산다》《아홉 형제 용이 나가신다》《할머니, 왜 하필 열두 동물이에요?》《서라벌의 꿈》《뺑덕》《쿠쉬나메》 등을 썼다.


그린이 이철민은

대학에서 시각 디자인을 전공했다. 잡지와 광고에 그림을 그리다가, 좀 더 이야기가 있는 그림을 상상하며 어린이 책에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다. 《박문수전》《이순신과 명량대첩》《건냐오의 백합계곡》《내 이름》 등에 그림을 그렸다.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사도 세자의 비극을 그린 <한중록>을 다시 살펴보면서

정조 이산과 정후겸이라는 두 인물의 이야기를 이 책에서 만나게 되었다.

표지에서 이산과 정후겸을 모습이 보인다.

둘은 왜 등을 돌리게 되었을까?

책의 내용을 이해하기 앞서서 역사적인 배경들을 알고 시작해야 할 것 같았다.

다소 초등 저학년에겐 조금은 난해할 수 있는 책이란 생각에

초등 고학년부터라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으리라 생각되어진다.

​사도 세자와 정조와의 피눈물나는 사연에 정후겸이란 인물이 걸쳐져 있으니..

이 책은 정후겸이 정조를 바라보는 시선으로 이야기를 펼쳐나간다.

출생부터 다른 이 둘을 관계가 주목되어진다.

세자인 정조와 어부의 아들로 태어나

평생 고기를 낚으며 살게 될 인생에서

화완 옹주의 양아들로 궁궐에 들어서면서부터 이 둘의 관계가 이어진다.

하늘과 땅차이인 이 둘의 차이를 그는 넘어서보고자 야망에 들끓었고,

결국 이 둘은 서로 등을 돌리게 된다.




 


이 책은 어린 정조와 어린 정후겸의

어린 시절 이야기로 어린이 역사책으로 풀어쓴 책이다.


아버지인 영조의 명에 따라 뒤주에 갖혀 죽게 되는 비극적인 이야기 또한

여러 정치적인 권력을 둘러싼 싸움에 연류되는 것 또한 무거움 더 한다.


사도세자와 이산과의 마음은 어땠을까..


좀 더 주목해야 하는 것은 이산과 정후겸 이 둘의 관계이다.


제목에서 창경궁 동무가 이 둘의 사이임을 말하는데

정후겸의 욕심과 질투심이 결국  큰 화를 부른다는 걸 책에선 말하고 있다.


사람이 권력을 맛보고자 하거나 뭔가에 큰 욕심이 커지면

결국 크나큰 후회로 얼룩질 일이 됨을 뒤늦게 알게 된다.


이또한 같은 상황이니 안타까울 뿐이다.


나는 옹주의 아들로 내관에게 그런 험한 말을 들을 위치에 있지 않았지만

지금은 그걸 탓할 상황이 아니었다.

화를 참고 있는 세손의 숨소리가 점점 더 거칠어졌다.

나는 두려움에 기가 꺾였다.

"세손 저하, 화나시게 했다면 용서하십시오.

소인은 다만 세자 저하가 걱정이 되었습니다."

나는 앙버티고 선 세손을 향해 허리 굽혀 인사하고는 서둘러 자리를 떴다.

세손의 시선이 뒤를 따라잡는 것 같아 뒷골이 써늘하였다.

세자가 임금의 진노를 샀어도 세손은 여전히 거대한 존재였다.


- p 118 중에서 -


세손은 비록 임금의 보호를 받고 있었지만 대신들이 호시탐탐 기회를 잡으려 노리고 있었다.

세손도 언젠가는 내쳐질지도 몰랐다.

사도 세자가 그렇게 죽어 나가지 않았던가?

가능성은 많았다.

사도 세자의 죽음과 관련 있거나, 적어도 그 아들이

왕위에 오르길 바라지 않는 사람들이 모두 권력의 중심에 있었다.

세손이 임금 자리에 오르도록 순순히 보고 있지 않을 사람들이었다.

자신이 몰락하지 않기 위해서 말이다.

나도 그 속에 포함되어 있었다.

나는 철저히 세손의 반대편에 섰다.


- p 156 중에서 -


세손이 왕이 되어 사도 세자의 아들임을 선포하는 순간

정후겸은 깨닫는다.


자신이 얼마나 행운을 불행으로 몰고 갔는지를..


어리석고도 불운한 인물인 그를 보면서

딸아이도 나도 많이 안타까운 마음이 들었다.


이 책의 배경으로 다시 역사를 되돌려 그 때 그 시절로 돌아갈 수 있다면

이산과 처음 만났던 창경궁에서  친구처럼

평생을 곁에서 함께 할 수 있는 사이로 발전되었더라면

아마도 역사는 바뀌지 않았을까..


후회하는 이미 늦었다!!!


이 책은 복잡한 역사적 사건들을 간추려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춰서

정후겸이란 인물 또한 재조명해보면서

아이들에게 주는 교훈적 메시지 또한 놓치지 않고 있다.


다만 아이가 좀 더 폭넓은 배경 지식이 없다면

이 책을 이해하기 조금은 힘들겠지만,

고학년이나 어른들이 봐도 참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책이란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