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대인 엄마의 힘 - 절반의 사랑을 감추고도 아이를 크게 키우는
사라 이마스 지음, 정주은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14년 10월
평점 :
절반의 사랑을 감추고도
아이를 크게 키우는
유대인 엄마의 힘

이 책을 살펴보기 전에..
저자 사라 이마스(SARA IMAS, 沙拉)
유대인 이민 가정 출신으로 중국 상하이에서 태어나 슬하에 2남 1녀를 둔 평범한 엄마였다. 남편과 이혼 후 세 자녀를 혼자 키우게 된 그녀는 고국 이스라엘이 해외에 거주 중인 유대인들에게 ‘고향으로 돌아오라’고 호소하면서 삶의 대대적인 변화를 맞이한다. 상하이에서의 안락한 삶을 과감히 버리고 아이들과 함께 전쟁의 포성이 울리는 이스라엘로 가게 된 것. 세계적인 인재를 배출한 유대인 교육의 본거지에서 보란 듯이 아이들을 훌륭히 키워내고 싶었다. 그리고 아이들이 새로운 환경에서 시련과 맞서고 홀로 서는 법을 익혀 인생의 참뜻을 깨닫길 바랐다. 여느 부모와 마찬가지로 그녀의 꿈도 자녀의 성공이었다. 자녀들이 명문대에 합격해 좋은 직업을 얻어 행복하게 살기를 고대했다. 하지만 이스라엘에서의 삶은 전형적인 ‘동양인 엄마’였던 그녀를 ‘유대인 엄마’로 바꿔놓았다. 보통 사람들이 보기에 절반의 사랑을 감춘 그녀의 자녀 교육법은 때때로 한겨울의 칼바람처럼 매정하기 이를 데 없지만, 그 덕분에 자녀들은 몸과 마음 모두 세계적인 부호로 성장할 수 있었다.
저자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BLOG.SINA.COM.CON/SARAIMAS
역자 정주은은
고려대학교 중문과와 이화여자대학교 통번역대학원 한중과를 졸업했다. 여러 해 동안 철학, 문학, 사학, 육아, 자기계발, 아동 문학 등 다양한 분야의 서적을 번역하며 서적의 특성에 따라 번역하는 노하우를 쌓았다. 개인적으로 인문학에 관심이 깊은데다가 인문 서적 번역에 대한 열의가 높아 번역자로서의 자질을 다지기 위해 관련 지식을 풍부하게 쌓아왔다. 독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속담, 격언, 사자성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편이며, 중국어 서적 번역에서 특히 문제시되는 직역과 한자어 남용을 피하고 순우리말 표현을 지향하고 있다. 현재 번역 에이전시 엔터스코리아에서 출판 기획 및 중국어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역서로는 『인생의 깨달음을 던져주는 철학형 지혜』, 『NO라고 말하는 아이』, 『내 아이의 미래를 좌우하는 황금법칙』 등 다수가 있다.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유대인들의 교육에 대한 지혜를
좀 더 알고 싶었던 터라 더없이 반가운 시간을 가졌다.
각 장마다 나에게 주는 메시지는 너무 큰 의미를 주었다.
그중에서도 몇가지를 살펴보면..
유대인 부모는 아이를 위해 없는 시련도 만들어낸다고 한다.
일부러 역경과 시련을 만들어 자녀의 의지와 지혜를 단련시킨다고 한다.
요즘 우리 아이들을 보면
자신이 원하는 것 바라는 것이 너무 쉽게 이루어진다.
그래서인지 아이들이 모든 것을 쉽게만 생각하고
그것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크게 좌절하고 만다.
점점 나약해지는 마음이 그대로 자신의 삶에도 표출되기에
이것이 하나 둘 쌓여가면 내 아이의 인생에
역경과 고난없는 삶이 독이 될 수도 있겠다란 생각이 들어 아찔했다.
또한 유대인 부모는 책에 벌꿀을 떨어뜨린다.
유대인 부모가 언어 교육에 특히 정성을 쏟는 이유는
언어는 소통의 물꼬를 트는 것은 물론
한 개인에게 셀 수 없을 만큼 많은 기회를 열어주기 때문이라고 한다.
무언가를 습득하는데 있어서 즐거움을 느낀다면
어떤 것도 빠르게 받아들일 수 있을 것이 분명하다.
특히 책에 대한 열정을 배울 수 있는 시간이 되었기에
더 의미가 있었다.
책 위에 달콤한 벌꿀을 한두 방울 떨어뜨려서 아이가 핥아 먹게 하는 것이다.
'독서는 달콤하다'는 인식을 심어주어
책에 대한 흥미를 고취시키려고 사용하는 방법이다.
또한 '책 속에는 살면서 곤란한 상황에 처했을 때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지식이 들어 있어 삶을 달콤하게 해준다'는 의미도 있다.
그리고 많은 유대인 가정에서는 아이의 침대 머리맡에 책장을 두어
지식에 대한 존중을 표현하기도 한다.
-p 105 중에-
어려서부터 독서하는 습관을 들이는 유대인들의 책을 향한 열정을 보면서
나또한 독서에 대한 이해와 흥미를 더 가까이 하게 되었다.
책을 사는데에 있어서의 소비가 아깝지 않도록
가치있는 것에 대한 우선순위를 바로 세우는 것이 필요할 거라 생각한다.
그것이 독서에서 시작된다는 걸 기억하면서 말이다.
과도한 만족은 보이지 않는 가정 폭력이다.
지나친 풍요로움은 아이에게 독이 된다.
참 이 부분이 나를 반성하게 한다.
사실 많은 것들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정말 깊이 만족하고 있지 못한다고 생각이 들때가 많다.
요즘 아이들은 참 나약하다.
어릴때부터 고생없이 자란 아이가
온실 속 화초처럼 풍족하게만 자라온다면
작은 바람에도 쉽게 쓰러지는 나약한 아이로 커가진 않을까 염려스럽다.
또한 아이에게 원칙을 지키게 하는 엄격함 또한 필요하다고 말한다.
현명한 부모라면 무조건 오냐오냐할 것이 아니라
엄격한 사랑을 베풀어햐 한다.
엄격한 사랑이란 걸핏하면 때리고 욕을 하는 것이 아니라
합리적인 이유에 따라 규칙을 정하고 그것을 지키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같은 사랑을 받고 자란 아이는 일찍 철이 들 뿐만 아니라
부모에게 더 살가운 정을 느낀다.
부모는 비로소 두 손에 꼭 쥐고 있던 고삐를 느슨하게 풀고
규범이 가져다준 편안함을 마음껏 누려도 된다.
-p 225중에-
아이의 인생을 놓고 부모로써 좀 더 현명한 자세를
취하지 못했던 것이 참 부끄러워진다.
이 책 한 권 속에 유대인의 지혜로움에 놀라면서
너무도 배울 것이 많고 많은 것들을 마음 속에 새기면서
하나 둘 부족한 부모에서 현명한 부모로 거듭날 수 있길
소망해보며 그들을 보고 배운 느낌이다.
유대인의 교육법, 나에겐 감동 이상의 깨달음과
나 자신에 대한 반성의 시간을 함께 가진 의미있는 시간이었다.
유대인 엄마의 힘이 나에게도 힘이 되었기에
나의 아이에게도 더없이 큰 힘을 실어주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