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의 사생활 2 : 정서.인성편 아이의 사생활 시리즈 1
EBS 아이의 사생활 제작팀 지음 / 지식채널 / 2014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스스로를 존중할 줄 아는 사람으로 키우려면?

 

아이의 사생활2

< 정서, 인성편 >

 

 

 

 

 

아이의 사생활 1 <두뇌, 인지편>에 이어

두번째 이야기 <정서,인성편>을 읽어보게 되었다.

 

1권에서 느꼈던 바를 충분히 기억하며

2권에서는 좀 더 감성적인면을 구체화하면서

아이의 심리를 제대로 살펴보는 시간을 가졌다.

 

우리 아이의 도덕성과 자존감에 대해 알아보면서

나는 앞으로 어떻게 해야할지도 생각해보게 된다.

 

여러 육아서들을 살펴보면서

공통된 항목들이 있지만, 더욱이 이 책에선

필요한 부분을 잘 집어주고 있어서

나에겐 참 맞춤인 책이었다.

 

첫째 아이와 요즘 많이 부딪히고 있는터라

아이를 어릴적부터 내가 어떻게 키워왔는지 생각해보면

조금은 나를 원망하면서도

지나온 시간들에 대한 후회가 되는 터라

더 이상의 후회와 지나 온 시간에 대한 미련을 버리고

지금부터라도 아이를 제대로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는 부분들을

이 책 속에서 제대로 파헤쳐보며 엄마가 공부하는 시간을 가져보았다.

 




 

 

 

둘째를 늦게 가지게 되어 첫째에겐

좀 더 자유가 없어지고 더 많은 걸 포기해야하는 거라 생가해서인지

요즘 엄마, 아빠에게 불만이 많아졌다.

 

그래서인지 하나 둘 이상한 거짓말을 하기에

조금은 말이 안되어보이고 뻔히 보이는 거짓말이기에

아이와 다투면서 이야기를 나누었었다.

 

그런데 그럴 때마다 호통치던 내 모습을 아이는 그저 미운 엄마로 생각하고

그런 미운 행동을 보이는 아이의 모습에 실망하는

악순환이 되기에 나를 다시 되돌아 보게 되었다.

 

무엇이 잘못되었던가..

 

책에서 답을 얻게 되었다.

 

실제로 아이에게 정직함과 도덕성을 가르치려고

잔소리하는 부모들이 참 많을거란 생각이 든다.

 

나또한 잘못된 행동에 대한 수정을

잔소리로 표현할 때가 참 많았다.

 

갈등의 골만 더 깊어 간다는 걸

더 일찍이 깨닫고 내가 이해하고 껴안았다면

내 아이의 마음이 조금은 부드러워지지 않았을까.

 

지금 우리 딸아이의 시기가 칭찬과 평판을 중시하는 시기라고 책에선 말한다.

 

남에게 좋지 못한 이야기를 듣는 것을

견디지 못하는 딸아이에게 가장 필요한 건

좌절할 수 있는 걸 극복하게 해주는 힘인 도덕성을 길러주는 것이었다.

 

그리고 말의 힘을 책에서 배우게 된다.

 

내가 했던 가장 큰 실수가 통제하고 혼내는 말에 대한 지난 날의 행동이

너무도 후회되고 안타까운 모습이었다.

 

말 한마디에 큰 힘이 실린다는 건 여러 연구 결과에서 살펴볼 수 있다.

 

엄마인 나에게 가장 먼저 필요한 행동 수정의 방법인 '말'을

반드시 기억하고 더이상의 실수는 반복하고 싶지 않다.

 

그리고 아이를 믿어준다는 것..

 

'말'과 함께 '믿음'은 하나가 되어야 할

가장 중요한 힘이 될 것만 같다.

 

그래서인지 더 깊이 공감하면서 책을 보게 되었다.

 

아이가 해낼 수 있다고 믿어라.

믿는 만큼 이루어진다.

한 가지 덧붙일 것은 아이의 자신감은 종종 부모의 긍정적 사고에서 시작된다는 사실이다.

무엇이든 부정적으로 말하는 부모는

무엇이든 부정적으로 말하는 아이를 만들어 좀처럼 자신감을 키울 수 없게 만든다.

하지만 같은 상황이라도 긍정적인 눈으로 보면 희망이 보이고

자신감이 생긴다.

따라서 평상시 아이를 대할 때는

긍정적인 말을 주로 사용하는 연습을 하라.


- p 187 중에 -


부모와 자식 간의 단단한 사랑, 애착은 아이의 모든 발달과

교육의 우선조건이다.

애착이 얼마나 안정적으로 잘 형성되었는가에 따라

정서적인 안정감이나 대인관계에 대한 신뢰감,

각종 변화에 따른 스트레스를 견디는 능력 등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안정적 애착이 형성되면 엄마의 행동을 편안하게 받아들여

모방이 쉬워지기 때문에 세상을 배워가기가 수월해진다.

그리고 자존감에 중요한 긍정적인 자아상과 세상에 대한 신뢰도 생긴다.


 - p 222 중에 -

 

내가 아이를 보았던 모습이 얼마나 진실되었는지

초등학생이 된 딸아이를 보면서

아이때의 사랑어린 마음으로 지금껏 변함없이 바라보고 있었는지를 생각해보면

내가 참 많이 변했구나란 생각을 하게 된다.

 

아이는 나와 소통하고 싶어했는데

그걸 무시하고 일방적으로 내가 생각하는 길로

내 갈길 내가 생각하는 방향으로만 가려했던 나를 내려놓고,

 

다시 원점으로 돌아가 모든 것이 평온했던

뱃 속에 내 아이를 가지고 있었던 그 때를 떠올리며

존재만으로도 감사하고 사랑스러웠던 그 아이가

모습은 바뀌었지만, 엄마의 순수한 사랑과

애정이 담긴 말을 통해 변화될 아이의 모습을 미리 생각해보며

내가 변해야 함을 제대로 느끼는 시간이 되었다.

 

큰 의미를 나에게 주고,

나를 변화시키는 힘을 책 속에서 찾은 기분이 든다.

 

아이의 행복, 나의 행복을

아주 어려운 곳에서가 아닌

바로 내 안에서 답을 깨닫게 된 의미있는 시간을 보내게 된 것에 감사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