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한 마음도 습관입니다 - 내 감정을 책임지고 행복한 삶을 사는 법
박상미 지음 / 저녁달 / 2023년 3월
평점 :
품절





괴롭고 부정적인 감정에 치우치려는 것도

습관으로 볼 수 있다.

편안하고 밝은 일상이 언제였는지 모르겠다면

지금 당장 마음의 불안과 우울에 기저한 사고 습관을 되짚어봐야 할 때이다.

긍정감정을 회복하기 위한

마음의 치유와 일상을 환기할 수 있는 변화를 이끄는

좋은 감정을 선택하는 방법을 책에서 배워보며 두려움에서 용기를 사고를 전환시켜보면 어떨까.

많은 사람들이 불안과 우울의 감정에 놓여있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의 걱정은 사실 쓸데없는 불안에서 시작된다.

적당한 불안은 동기부여에 도움이 될 수 있고

좋은 에너지로 충분히 바꿀 수 있다.

막연하게만 생각하면 더 불안하기 쉽기에

원인을 파악하고 명확하게 실체를 들여다보면

사실상 불안에 압도되지 않고 그 크기를 줄여나가면서

감정을 조절하며 처리할 수 있다.

책에서는 핵심 감정을 자각하는 연습으로 나에게 질문하고

정확히 나의 심리를 파악해보는 것으로

내가 느끼는 불안이 미칠

문제 해결에 건강한 삶에 어떠한 도움이 되며

실제로 이로 인해 문제가 야기될 확률이 대단히 적다는 걸 안다면

위축된 마음과 불안이 서서히 다스려진다고 한다.

우울이 사고 오류(인지 오류)에서 생기는 문제들이 상당히 많기에

잘못된 판단으로 빚어지는 행동을 바로 잡는 인지행동치료를 주목해볼만하다.

사고 오류 항목을 스스로 체크해보고

긍정사고로 전환하는 습관을 연습할 필요가 있다.

우리 뇌에 긍정의 기억, 긍정의 감정을 자꾸 저장해야합니다.

그러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긍정을 발견하고 행복을 발견하는 습관 회로가 장착됩니다.

긍정의 말을 하고 행복을 만들기 위한 행동을 실천하면 내 삶이 그렇게 바뀝니다.

P199

뇌를 변화시키면 마음이 바뀌게 된다는 것,

마음의 실체가 뇌라는 것을 단번에 알 수 있다.

행복한 감정과 부정적인 감정은

뇌가 느끼는 자극에 달려있는데

같은 자극이라도 내가 느끼는 바의 차이는 다르다.

긍정사고 연습을 통해 작은 자극에 행복을 느끼는 뇌를 만들어나갈 필요를 느낀다.

행복과 불행을 두고 선택할 고삐를 쥐고 있는 건 나이니까

나쁜 습관에 중독되어 있는 것들을 끊어내고

사고 습관을 재설계할 이유가 분명하다.

핑계와 변명, 자기 합리화에서 벗어나

잘못된 습관들을 인지하고 고쳐나가는 것이 먼저이다.

좋은 감정과 생각을 선택하는 습관을 마음 먹고 싶다면

불행을 부르는 습관부터 버리는 연습을 반드시 해야 한다.

마음의 대청소를 마음 먹고 있다면

책에서 언급하고 있는 행동처방을 따라

긍정사고 습관 연습에 적극적으로 임해보길 바란다.

뇌가 느낄 좋은 방향성으로

삶의 푯대가 긍정과 행복의 방향으로 훨씬 더 기울어지길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