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미디언스 페이지터너스
그레이엄 그린 지음, 이영아 옮김 / 빛소굴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배경인 나라에 대해 잘 알고 있진 못하지만

많은 어려움과 아픔을 가진 나라로 기억하고 있다.

냉전으로 얼어붙은 아이티를 배경으로 한 희비극을 만나보게 되었다.

독재자의 나라에서 인권이 말살되는

처참한 상황 속에 놓인 군중들은 반군을 일으키는데

이 곳은 더더욱 관광객의 발길을 떠나가게 되고 이주를 계획하는 이들이 많아진다.

그럼에도 이곳에 머물러 살고 있는 이국인들의 이야기를

이 책 속에서 살펴보면서 묘하게 동요되어

웃고 떠드는 모습들에 약간의 피로감을 느끼기도 했다.

“나는 닥치는 상황에 맞추어 살아갈 뿐입니다.

세상 사람들 대부분이 그렇지 않습니까?

어쨌든 살아야 하니까요.”

“당신이 인생에서 바라는 건 뭡니까, 브라운? 당신 어머니가 했을 법한 답은 알고 있습니다만.”

“그게 뭐죠?”

“그 분은 답을 모르는 나를 비웃으셨을 겁니다. 그 답은 바로 재미랍니다.

하지만 그분에게는 거의 모든 것이 ‘재미’있었죠. 심지어 죽음까지.”

p340

아이티로 향하는 메데이아호 화물선에서

브라운, 존스, 스미스의 이야기가 시작된다.

아이티에서 호텔을 운영하는 브라운은 경영의 어려움을 겪게 되고

막막한 현실 속에서 표류하고 있는 인생을

그저 웃고 지켜보려니 안타깝기만 했다.

기회주의자 존스의 이기적인 모습이 불편하면서도

결국 비극을 맞게 되는 것이 마냥 통쾌하진 않았고,

스미스 부부의 이분법적인 모습에서 이질감을 느끼면서도 애잔한 감정이 들었다.

비극의 상황을 현실로 떠안고 살아가는 이들에게서

난 마냥 이 분위기를 웃음으로 무마하며 전혀 즐기질 못하고 있었다.

아이티가 처한 정치적 상황이나

여러 복잡하고 어려운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뒤엉켜 사는 이국인들의 삶이 얼마나 답답할지 가늠하지만

작품 속에서 던지는 위트도 마냥 폭소로 이어지진 못했다.

그건 이 나라의 아픈 정치사를 들여다보게 되니

군주의 독재 속에서 엄청난 탄압과 쿠데타를 겪으며

국민들 모두가 많은 상실감과 무기력에 시달리지 않았을까 싶다.

소설의 배경이 되었던 아이티라는 나라를 설정으로

이같은 블랙 코미디물을 만나게 될 줄은 몰랐는데

해학과 웃음의 조화롭지 못한 어색한 상황들이

어둡게 깔린 분위기 속에서 완전히 희극적인 요소를

맘껏 즐기지 못한 것 같아 마음이 무겁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