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주
조양희 지음 / 숨쉬는책공장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준주




이 작품은 10여 년 전 '분홍 구두'라는 이름으로

출간되었따가 다시 독자들에게 얼굴을 내민 작품이다.

단아해보이는 한 여성의 곧은 모습이

굉장히 인상적인 강렬한 붉은 색 표지의 책을 받아들고서

이 여인의 삶이 어떻게 흘러가게 될지 담담히 책장을 펼쳤다.

꽤 두꺼운 장편소설이었지만 몰입하기 좋았던 가독성과

흡입력있는 스토리가 독자들의 마음을 움직이는 힘이 있었다.

준주는 유학 생활이 버겁고 혹시 불쾌한 일이 닥치더라도 담담하게 받아들이기로 했다.

어려운 일들을 하나씩 헤쳐 나가는 것은 곧 이곳 문화를 알아 가는 과정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런 단계를 통해 성숙한 어른으로 성장하리라 느꼈다.

그래서 아침에 눈을 뜰 때면 강해져야 한다고 스스로를 거듭 타일렀다.

p90

"저것 좀 봐, 조센진...... 자신이 예쁘다고 착각하고 뽐내는 꼴이란.....

못 보겠네. 사생활이 고와야지 화장품 모델을 하지.

조선 여자도 일본 화장품 모델을 하냐고 투고했어야지.

백화점에선 모르겠지. 항의서를 투고해야겠네."

"감히 저런 주제에 어딜 넘보고 있어? 어디 왕가를 넘보나!"

p185

"서로를 바라보는 소중한 시간을 열어 둡시다.

당신은 많은 조선 반도 아기들과 산모들을 구할 훌륭한 의사잖아요.

준주 씨 의지와 실력을 잘 알아요.

의학부 시절 감당하기 어려운 해코지들도 다 이겨 낸 강한 여성이잖소."

"이제 우리 시대에 전쟁은 그만이길. 제발 멈췄으면 좋겠어요."

p320

주인공 <준주>는

산부인과 의사가 되기 위해 일본 유학을 준비한다.

시대적 배경이 일제 강점기라는 점에서

조선인이 당하게 되는 멸시와 압박,

현실적으로 감당하기 힘들 어려움이 산재해 있는데..

사촌 오빠인 진석과

연인인 도오루.

젊은 청춘들의 숭고하고 얼룩진 삶을

너무나 잘 묘사한 소설이라

읽는 내내 영화화 될 이 책의 미래를 잠시 떠올려보기도 했다.

평범하게 안주할 수 있었던 삶이었으나

이상을 품고 조국을 떠나 유학길에 오르려는

당찬 준주의 모습이 참 인상적이기도 하면서

현실의 제약에 한없이 밀려나야 했던 모습을 보면서

뼈아픈 실상에 가슴이 타기도 했다.

마지막까지 희망을 놓칠 수 없었던 건

비단 나뿐만이 아니었다는 걸 확신한다.

언제까지나 뭉개진 현실의 벽을 박차고 일어날

이 젊음의 패기로 일어서고 바로 잡아가야 할 마음의 빛을

무겁고 아픈 시간 속에서 참고 기다려야했을

이들의 청춘의 희망을 난 함께 끝까지 응원했다.

이 책을 읽는 내내 느꼈던 절절한 희망과 구원이란 단어를

절실하게 필요로 했던 건 아픈 우리 역사를 대신하고 있어서인지도 모르겠다.

한국과 중국, 일본의 청년들의

패기와 열정, 꿈과 희망, 좌절과 아픔 속에서 얽혀 있는

국경을 초월한 휴머니즘을 느낄 수 있는 소설이었다.

한 번쯤 읽어보길 추천하고 싶다.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