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 편의점 : 과학, 신을 꿈꾸는 인간 편 지식 편의점
이시한 지음 / 흐름출판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식 편의점

: 과학, 신을 꿈꾸는 인간 편





이번에 만나보게 된 지식 편의점은

과학과 종교라는 광범위한 영역을 다루고 있다.

방대한 지식의 양을 축약시키기도 힘들텐데

이전엔 가볍게 살펴보면서도 지적 호기심을 자극할만한 요소들을

어렵지 않게 다루면서도 이해하기 쉬워서 더 기대하고 있었던 게 사실이다.

이번 책도 굉장히 만족스럽게 읽었다.

접근하고 있는 주제에 대한 다양성을 적절히 다루고

난의도를 상당히 높게 잡지 않아서

살짝 겁을 먹고 접근했던 나에게도 제법 책을 수용함에 어려움은 없었다.

흥미로운 과학의 주제를 이렇게 재미있게 풀어놓을 수 있는지 말이다.

다양한 주제의 장 중에서도 과학 기술의 그림자를 다룬 두 가지의

중요한 서적이 집에 있음에도 아직 완독하지 못해서 아쉬웠는데

이번 책에서 다루고 있어서 더 인상적으로 살펴보았다.

뉴턴 법칙으로 특정되는 기술 중심의 사고에서

인간은 발전이라는 개념을 신봉합니다.

하지만 기술이 아무리 발전해도 인간이 쓸 수 있는 에너지는 더 만들어내지 못하고,

무용한 에너지가 쌓이는 것을 막지도 못합니다.

그런데도 인류는 기술의 신화에 휩싸여 에너지의 무분별한 사용을 멈추지 않고 있다는 것이

리프킨의 진단입니다.

p223

제러미 리프킨은 엔트로피라는 열역학의 개념을 가지고

우리 사회가 이 개념을 받아들일 것을 강조한다.

무용한 에너지밖에 남지 않게 되면

가까운 시기에 멸명하게 될 지구를 걱정하고 있다.

실제로 기술 발달이 무질서를 쌓이게 한다는 부분을

이해하지 못했는데 예시를 보면서 쉽게 이해할 수 있었다.

단기간에 편리함과 유익함을 얻기 위한 기술이

엔트로피가 감소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장기적으로는 증가하고 있는 것이란 걸 수긍하게 만든다.

에너지를 줄이고 물질을 최소한으로 사용하는 것이

당장은 불편한 일인 건 분명하다.

대규모적인 기술 발전이아닌 소규모로 흐르는 기술로서

엔트로피의 증가를 최소화시킬 것에 대해 동의가 되고

적색 경고에 대한 경계심을 가져야 하는 게 아닐까 우려스럽기까지 하다.

한 발짝의 진보에도 앞뒤를 살피며 내딛는 주의 깊음이 필요합니다.

이제는 과학 기술의 능력이 크기 때문에 서툴거나 작은 행복 하나에도 인류 멸망이나

인류 말살의 위험에 빠질 수도 있거든요.

이미 우후죽순 개발한 핵폭탄은 지구상에 보유한 것을 다 쓴다면

지구 자체를 파멸시킬 수도 있는 지경에 이르렀잖아요.

처음 핵폭탄이 등장한 지 불과 70여년 만에 인류는 자기 목에 칼을 겨누고 있는 셈이 된 것이죠.

p239

지금의 때가 앞으로의 예기치 않은 대가를

갑작스럽게 얻게 낼 마지막 시간이 될지도 모르겠다.

앞으로 더 많은 과학 기술이 눈부시게 발전하겠지만

환경 오염이라는 문제가 항상 맞물려 있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도 안된다.

레이철 카슨의 <침묵의 봄>은

환경 문제에 대한 대단한 경각심을 일깨워주는 책이 분명했다.

친애하는 과학 기술이 인류에게 해를 미칠 수 있다는

다소 충격적인 사실에 대해

꽤 사실적으로 서술한 책이라 더 놀랄 수 밖에 없다.

살충제나 제초제 같은 유독성 화학물질이

대단히 큰 심각성을 가진 피해로 나타나

인간을 위협한다는 걸 책을 보면서 더 소름끼치게 느끼게 된다.

그 위험을 지금에서야 알게 되었지만

당시에는 그런 분위기가 아니었으니

레이철 카슨의 위협적인 상황에서 걸어야 했을 진실의 목소리를

함구하지 않았으니 덕분에 참 감사하다는 생각이 든다.

필연적으로 따라 올 수 밖에 없는 기술과 환경오염의

양갈래의 길 위에서 많은 과학자들이 고심할테지만

맹목적으로 속도를 올리는 건 굉장히 위험한 수위인 것 같아 걱정이 된다.

그 어느 때보다도 개발과 적용의 단계가

신중할 필요가 있다는 걸 다시 한번 느낀다.

과학과 인류의 연결 고리가 맞물려 돌아가고 있는 구조 속에서

같이 동행하며 걸어가는 것이 결코 쉬워보이진 않는다.

아는 만큼 보인다고 역시나 책에서 다루고 있는

다양한 영역의 호기심들이 편협한 사고를 확장시키고

관심사의 범위가 더 넓어지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지식이 고플 때 언제든 찾아 읽을 수 있는

부담없는 지식 편의점을 항상 애정하고 있는터라

이번 주제만큼은 좀 더 비장한 마음으로 살펴보았던 책이었다.

지식의 깊이와 교양의 넓이가

한층 진화된 성숙함으로 만나본 이번 책은

과학이라는 손이 잘 닿지 않은 분야에 감히 뛰어들어 살펴보고

마음껏 사유할 수 있었던 유익한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