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파도에서 넘어지며 인생을 배웠다 - 넘어져도 무너지지 않고 다시 일어나는 법
캐런 리날디 지음, 박여진 옮김 / 갤리온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파도에서 넘어지며 인생을 배웠다




이 책을 살펴보기 전에..


저자 : 캐런 리날디
KAREN RINALDI

캐런 리날디는 20년 이상 편집자로 일했다. 하퍼콜린스의 편집장이자 하퍼 웨이브의 창립자이며 영화 〈매기스 플랜〉의 원작자이자, 〈뉴욕타임스〉, 〈오프라닷컴〉, 〈타임지〉 등 여러 매체에서 칼럼을 쓰고 있다.

이 책은 그녀가 〈뉴욕타임스〉에 기고한 칼럼에서 출발했다. 마흔이라는 나이에 처음 서핑에 도전하면서 무수히 넘어진 시간에 대한 이야기이자 형편없이 못하는 일을 하는 즐거움에 대해 쓴 글이었다. 이 칼럼은 10만회 이상 공유되며 수많은 사람들에게 못하는 일에 도전할 용기를 주었다.

서핑에서 멋있는 순간은 찰나다. 끝없이 패들링을 하고, 파도를 타기 위해 일어나지만 넘어지고 물에 빠지는 순간들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그게 인생에서 몰아치는 파도에서 견뎌낼 수 있는 힘이었다고 그녀는 말한다. 인생에서도 멋있는 순간은 찰나고, 대부분의 시간은 그 결과를 만들어내기 위해 발버둥 치는 순간들이다.

예상치 못한 파도가 인생에서 덮칠 때, 당신은 어떻게 할 것인가? 저자는 그런 순간을 이겨낼 수 있었던 힘은, 파도를 타며 다시 일어나는 경험에서 쌓았다고 말한다. 처음 홀로 파도를 타기까지 5년이란 시간이 걸렸다. 생산성의 차원에서 보면 터무니없이 비생산적인 일인데다 돈을 버는 데 도움이 되는 일도 아니었다. 하지만 그 시간은 조금도 헛되지 않았다. 17년간 서핑을 하며 인생에서 생각지 못한 파도가 닥쳐올 때마다 견디고 일어설 수 있는 힘을 길렀기 때문이다.

새로운 일을 시도한 게 언제인가? 돈을 버는 일도 아니면서, 생산적이지도 않은 그런 일을 시도한 기억 말이다. 이 책은 당신에게 그 일을 시도할 용기를 줄 것이다. 그리고 그것이야말로 역경 속에서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힘이 될 것이다.

역자 : 박여진
번역가 겸 여행작가이다. 파주 번역인 작업실에서 작업하고 있으며 다양한 매체에 칼럼을 기고하고 있다. 저서로는 《토닥토닥, 숲길》이 있으며 역서는 《사랑하는 아내가 정신병원에 갔다》, 《내가 알고 있는 걸 당신도 알게 된다면》, 《빌브라이슨의 발칙한 영국산책2》 외 수십 권이 있다.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넘어져도 무너지지 않고 다시 일어나는 법


새로운 일을 시도할 때면 매번 망설인다.


이 일의 진행이 성공할 수 있을지

내가 감당할 자신이 얼마나 있는지..


끝없는 자기 검열을 마치고도 계속 그 과정을 지치도록 반복한다.


어쩌면 '넌 이걸 감당할 수 있을 정도로 그릇이 크지 않아'

라는 포기를 이끌기 위한 도전에 대한 회피가

의식적으로 지배하도록 내버려두는 편을 선택하는 편이 속 편하다.


아무것도 하지 않으니 아무런 일이 일어나지 않고

일이 없기에 실패를 경험치 않아도 되니 괜찮다라고 스스로

현실에 안주해 도전을 외면한다.


그렇게 많은 에너지를 끌어 쓰길 겁내하고

나약함을 감추는 것에만 눈치를 본다.


깊은 내면에선 나를 더 근사한 사람으로 살기 위한

뭔가의 작은 시도가 너무도 절실해보이는데도

내버려두었던 일들이 대부분이다.


난 이제 시도하지 않는 인생으로 계속 살아가는 건가.


열정으로 가슴 뛰거나

실패를 맞설 수 있는 힘은

저 바다 넘어에 있는 것인지.


난 지금도 수영을 못한다.


물공포증이 상당히 발목을 잡는다.


발 밑에 바닥이 닿지 않으면 말할 수 없는 공포감이 엄습해온다.


온몸에 힘이 들어가 몸을 가볍게 띄우는 것이 버겁다.


물 속에 빠져서 이후에 벌어질 끔찍한 참사와

악몽이 물 속에 발을 넣고 앞으로 나아가길 시도조차 하지 못하게 한다.


이런 공포 본능이 나를 압도하기에

수영을 마스터하기란 참 멀고도 험한 길 같아 보인다.


그런데 늘 수영을 배우고 싶다.


물에 대한 공포를 극복하고 싶었고,

지독히도 무서운 이 대상을 좋은 것으로 탈바꿈해 내것으로 만들고 싶었다.


바라기만 하는 것보다 행동으로 옮기는 게 더 낫다.

아예 망치지 않는 것보다는 망쳐보기라도 하는 편이 낫다./p35


한 번 해보자는 마음으로

두려움을 허락하고 받아들이며

천천히 숨을 고른다.


아직도 물은 두렵다.


근사하게 수영을 마스터하지 못했다.


물 속에서 라이프가드에 의지해 노는 정도로

참방거리는 수준에 머물긴하지만 가족들과 물놀이를 즐긴다.


시도조차 하지 않고 주저하는 일들이 많다.


항상 시작을 하면 완벽한 끝맺음을 생각한다.


그러다보니 시작을 하기도 전에 결과물에 대한 평가와

도달하기 위한 노력과 완벽함의 측정에 피로함이 몰려온다.


그렇게 팍팍하게 생각하지 않아도 될 것을

너무 어렵게 바라보고 무겁게 생각하니

시도하는 것이 꽤나 고단한 일처럼 여겨진다.


결과적으로 좋지 못하더라도

시도했다는 것으로 한걸음 땔 수 있었다는

작은 도전과 노력에 스스로가 칭찬할 필요를 느낀다.


적어도 나에게는 좀 더 너그럽게 말이다.


긍정적인 결과가 생길 것이라는 믿음으로 희망이 생길 수 있다면,

같은 논리를 다른 곳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를테면 못하는 일에 끊임없이 노력을 기울이는 행동에도 말이다./p184


플라세보 효과를 보면 긍정적인 믿음으로

극적인 효과를 치유할 수 있는 경험들이 소개된다.


믿으려는 의지가 보여주는 엄청난 결과를 보면

내가 믿고 있는 것이 긍정과 부정 중에 어느 것에 더 가까운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적어도 좋은 방향으로 생각하는 편이

선순환을 이끌 수 있는 힘이 되기에

긍정의 힘이 나에겐 필요할 것 같다.


여전히 파도를 넘어서기가 두렵다.


파도에 몸을 맞기고 자유로워질 그 너머의 세상을 꿈만 꾼다면

난 여전히 겁이 많아 도전은 꿈도 꾸지 못할 것이다.


실패와 좌절이 지금의 나를 만든 것처럼

더 다듬어져야 할 부분들이 많기에

계속 넘어지면서 좀 더 실패에 너그러움을 배울 필요를 느낀다.

 

주저하지 않고 좀 더 넘어지더라도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나로 성장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