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물을 거두는 시간
이선영 지음 / 비채 / 2024년 11월
평점 :
아름드리 퍼진 그물을 켜켜이 거두어내는 시간을 그려본다. 망망대해에 홀로 남아 심해까지 뻗어있는 그물을 직접 거두는 마음에 무어라 이름을 붙여야 할까. 참회와 속죄. 정말 그것으로 충분한가. 어쩌면 그 시간이 멈추지 않게 하는 마음은 참회나 속죄가 아니라 용기일지도 모르겠다.
대필 작가 윤지는 어느 날, 이모의 자서전 작업을 맡게 된다. 녹취를 위해 만난 첫날, 윤지는 깨닫는다. 이모가 남기려는 자서전은 유명 디자이너로서의 삶을 기록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차마 모른척할 수 없는, 아무리 두 눈을 감고 두 귀를 막아도 지워지지 않는 시간들에 대한 사죄임을. 이모와 만남을 이어가는 동안 윤지에게 민혁이라는 남자로부터 한 통의 연락이 닿는다. 무심코 전해 들은 선재와 수진이라는 이름. 완전히 일그러지고 구겨졌던 과거가 눈앞에 두서없이 펼쳐지고, 윤지는 깊고 깊은 심연에 가둬두었던 시간들을 마주하고 만다. 전혀 닮은 구석이라곤 찾을 수 없는 이모와 윤지의 생은 꽤 많이 닮았다. 평범하지 않은 사랑을 품었고, 잊고 싶을 만큼 나쁜 마음을 품었고, 누군가를 향한 독을 쏟아부었고, 끝내 그것은 스스로를 갉아먹는 고통이 되었다. 그럼에도 생은 그들에게 기회의 손길을 내민다. 참회, 속죄 무엇이든 할 수 있도록. 구겨진 종이를 반듯하게 펼쳐 다시 진심을 써 내려갈 수 있도록. 용기를 빌려준다.
작가는 이 소설을 두고 사랑의 양면성에 관한 이야기라고 했다. 글쎄, 나는 사랑의 다양성에 관한 이야기라 믿는다. 잘못을 덮지 않고 꼿꼿하게 기억하고 속죄하는 마음, 스치는 눈길만으로도 소스라치는 떨림, 상대를 위해 기꺼이 그림자 같은 사람이 되는 용기, 나와 같지 않은 상대를 있는 그대로 품어주는 그늘, 앞뒤 재지 않고 뛰어드는 희생, 뜨겁게 타오르는 동시에 끈적하게 달라붙는 욕망 ... 그 모든 마음들로부터, 그 모든 사랑으로부터 우리 모두 자유로울 수 있었던가. 누구 하나 그런 시절, 그런 기억, 그런 마음 없었던 적 있던가.
단숨에 한 권을 통 째로 읽어 내렸다. 책장을 덮는 순간에서야 비로소 크게 숨을 푹 내쉬는 것을 느낀다. 공기 중에 흩어지는 내 숨소리가 낯설게 느껴진다. 다양한 사랑들을 그려본다. 각자의 다양성이기도, 내 안에 담겨있는 무수한 다양성이기도 한 그것들을 마음 가득 안아본다. 용기를 거두는 시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