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런 건 과학이 아닙니다
야마모토 기타로.이시카와 마사토 지음, 정한뉘 옮김 / 시그마북스 / 2024년 10월
평점 :

『그런 건 과학이 아닙니다』의 주제는 유사과학입니다. 그렇다면 유사과학은 무엇일까요? 이 책에서 소개할 유사과학은 과학적으로 보이지만 실체를 들여다보면 결코 과학적이지 않은 주장, 설명, 정보를 가리킵니다.
그런 건 과학이 아닙니다
유사과학, 과학인 듯 보이지만
사실은 과학이 아닌 정보를 뜻한다.
대표적인 유사과학 중 하나가
'물의 결정'인데 한 번쯤 들어보았을 것이다.
좋은 말을 한 물의 결정과,
나쁜 말을 한 물의 결정이 다르다는 주장으로
나는 지금껏 과학이라 믿고 있었던 유사과학이었다.
그리고 나 같은 사람이 한둘이 아니리라 예상한다.
유사과학에 속는 사람들

유사과학 역시 직감에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 책에서는 유사과학에 관한 사례를 하나하나 해설하며, 유사과학을 구별할 수 있는 다양한 논리적 관점과 반성적 사고를 갈고닦는 포인트를 소개하고자 한다.
그런 건 과학이 아닙니다
'그런 건 과학이 아닙니다'는
나와 같은 이들을 위해 쓰였다.
과학이란 무엇인지,
유사과학의 이론과 데이터,
관계성을 파헤친다.
한 번쯤 들어봤을 법한 정보,
혹은 믿거나 믿어 의심치 않았던 내용까지
그 실체를 알고 나면 적잖게 당황할 수도 있다.
하지만 당황스럽다고 해서
모르고 지나칠 수는 없는 법.
저자를 따라 유사과학에 관한 사례를
하나하나 따라가며
구별할 수 있는 논리적 관점과 사고를
깨우칠 수 있길 바란다.
이게 다 유사과학이라고?

과거의 연구를 조사해 봐도 전자파가 암을 일으킨다는 내용은 없었다. 전자파를 암의 원인으로 여기는 것은 심리적 요인 때문이다. 부정적인 이미지로 인한 영향은 이루 헤아릴 수 없다.
그런 건 과학이 아닙니다
디톡스, 전자파, 블루 라이트 등.
이 모든 게 유사과학이라니.
특히 전자파는 대부분
두려워하는 존재가 아니던가.
전자파가 암을 유발한다느니,
정자에 영향을 끼친다느니 하는 말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나온 말이 아니었냐는 말이다.
놀랍게도 과거의 연구조사에서는
전자파가 암을 유발한다는 결과도,
정자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도 없다고 한다.
오히려 전자파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로 인한 영향과 신경으로
건강을 더 해칠 수도 있다는 게 저자의 견해다.
이제껏 실체 없는 대상에
불안했다는 사실이 화가 났지만,
이렇기 때문에 유사과학에 빠지지 않도록
판단력을 길러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과학 문해력이 필요한 때

과학 양식을 갖춘 지식으로 유사과학을 구별하는 판단력, 즉 '과학 문해력'이 필요하다. 과학 문해력은 '의문을 인식하고, 새로운 지식을 획득하고, 과학적인 상황을 설명하고, 증거를 토대로 결론을 끌어내기 위한 지식과 그 지식의 활용법'으로 정의된다. 이는 좋은 사회를 만들기 위해 시민이 익혀야 할 능력이다.
그런 건 과학이 아닙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판단력을 길러야 하나.
저자는 유사과학을 구별하는 판단력은
과학 문해력에서 나온다고 전한다.
의문을 인식하는 것으로 시작하여
증거를 토대로 한 결론에 이르기까지의
과학 문해력이 필요하다는 것.
저자는 유사과학에서 이루어지는 데이터 오류,
전문가와 학회라고 불리는 것들의 실체,
허술한 연구 방식과 문제점 등을 꼼꼼하게 살펴
스스로 검열하고 판단할 수 있도록 돕는다.

우리는 과학의 성과를 누리면서도 유사과학을 구별하는 '양면적 기술', 쉽게 말해 좋은 것은 좋고 나쁜 것은 나쁘다고 구분하는 기술이 필요합니다. (중략) 이 책이 과학과 유사과학을 확실히 구분하는 기술을 익히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그런 건 과학이 아닙니다
또한 유쾌한 그림과 짤막한 형식의 글 구성으로
집중하기 좋고, 끊어 읽기도 좋다.
심지어 재미있다.
덕분에 과학과 유사과학 사이를 오가며
폭넓게 사고하는 법을 배울 수 있었다.
이젠 유사과학에 속지 않으리라는 마음으로
꼼꼼히 살펴야지. 잘 읽었습니다!
'이 리뷰는 컬처블룸을 통해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 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