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ADHD는 병이 아니다 - 부모들이여, 이제 집중력 결핍의 불안에서 벗어나자!, 개정판
데이비드 B. 스테인 지음, 윤나연 옮김 / 전나무숲 / 2024년 8월
평점 :

저명한 소아신경과 의사들은 ADHD 질병론에 반박한다. 미국의 연방정부기관도 이 발언에 무게를 실어주었다.
(중략)
당신의 아이에게 ADHD 증상이 있다면 '만약 약이 없다면 무엇부터 해야 할까?'를 생각하라. 이것이 ADHD 치료의 핵심이다.
ADHD가 질병이 아니다?!
유치원과 학교에서 근무했던 나로서는
납득이 잘되지 않는 말이었다.
그렇다면 그간 내가 봐온
그 아이들은 무엇이란 말인가.
책은 나와 같이 ADHD를 단순히
질병으로만 바라보는 사람에게
새로운 각도와 시선으로 볼 수 있도록 쓰였다.
더불어 ADHD로 진단받은 아동과
부모에게 빛과 희망을 주는 책이기도 하다.
ADD, ADHD는 비정상이 아니다.

그러나 나는 ADD, ADHD 진단을 받은 아이들이 비정상이 아니며 약물치료와 행동치료가 오히려 아이들을 의존적이고 무력하게 만들 뿐이라고 생각한다.
저자는 약물이 주는 이점도 있지만
그에 따른 부작용도 심각하다 전한다.
마약 성질과 비슷한 약물,
그 약물을 지속적으로 투여하는 위험성을 경고한다.
그리하여 대안으로
'아동이 약물을 복용하지 않고도
올바르게 행동하고 자립적으로 맡은 일을 다 하고
주의를 기울이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다.
아이를 환자가 아닌 정상적인 아이로 보는 것이다.
(ADHD : 주의력결핍과 과잉행동 모두 있는 경우 / ADD : 과잉행동이 없는 경우 주의력결핍장애라고만 부름)
ADHD의 불편한 진실

늘어나는 일상의 스트레스, 의도치 않은 사실상의 방치, 긴장이 도는 가정환경, 가정교육과 집안일을 지원하던 대가족의 해체가 ADD, ADHD 아동이 급증하게 된 주요 원인이다.
자신의 큰아들과 작은 아들이
ADD와 ADHD를 진단받고
약물을 복용하며 생긴 부작용과,
약물을 끊고 나서의 변화를 이야기하며
ADHD의 진실과 오해를 소개한다.
과거와 달리 급증한 ADHD의 발병률,
그것을 환경의 변화로 본다.
그리고 현대사회가 본질은 뒷전으로 하고
약물에만 의존하도록 만들었음을 지적한다.
정말 ADHD 아이들이 많아진 걸까,
아니면 환경이 아이들을 낙인찍은 것인가.
(여기서 환경은 사회, 학교, 가족, 부모 모든 것을 포함한다)
부모의 10가지 실수

(중략)
4. 아이를 대신해 무엇이든 해주는 편인가.
5. 아이에게 일일이 해야 할 일을 지시하는가.
(중략)
아이를 의존적으로 키우는 것은 아이에게 장애를 심어주는 것과 같다.
나는 아이가 시행착오를 줄이고
효율적인 일 처리를
하게 한다는 명목으로 일일이 지시했다.
아이가 제 일을 스스로 잘 하지
못한다는 생각에 더 그랬는데,
오히려 나의 지시로 인해 아이는
스스로 생각하고 할 일을 찾는 법을
잃어버리게 된 것이었다.
그러기에 꼭 ADHD의 자녀가 있지 않더라도
내가 아이를 망가뜨리고 있는 것은 아닌지
이 책을 통해 확인할 필요가 있다.
나의 행동이 없던 ADHD도 만들 수 있을 테니.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하나

이 책은 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이고 구체적이며 풍부한 내용을 담고 있다. 또한 이 프로그램은 수년 동안 주의산만, 품행불량 아동 수백 명을 대상으로 직접 시행하고 여러 번 다듬어서 얻은 결과물이다.
저자는 산만하고 충동적인 행동을
줄여주는 방법과 부모 역할 훈련을 알려준다. (부모 역할 훈련 : 과학적으로 개발한 행동 치료법을 바탕으로 주의산만 및 품행 불량 자녀를 둔 부모가 이해하고 따라 하기 쉽게 고안한 방법)
아이를 잘 키우는 능력을 타고난 부모도 있지만
그렇지 못한 부모도 많다. (내가 그렇다)
그렇다면 좌절하지 말고
기초지식을 배우고 익히면 된다. (무엇이 아이를 산만하고 과잉행동으로 이끄는지 이유를 찾아보고 고쳐야 할 행동의 목록을 만들어 보자. 나머지 상세한 내용은 책을 통해 확인할 수 있길)
부모라는 이름으로

아이의 변화는 부모의 양육 태도 변화를 통해서만 가능하다.
나는 부모라는 이름으로 아이를 사랑했나,
혹은 학대했나. (적당한 단어를 찾지 못해 '학대'라는 극단적인 단어를 쓴 점 양애 해 달라)
아이의 변화는 부모의 양육 태도 변화를
통해서만 가능하다는 말에 마음을 다잡아 본다.
내 아이의 무궁한 발전성과 창조성을 믿으며
다시 한걸음 내디뎌야겠다.
당신의 아이가 ADHD라고 좌절하지 않길,
알약보다 부모의 사랑이
더 큰 마법을 만든다는 것을 믿길,
창조성을 가진 우리 아이의 변화를 기대하길 바란다.
잘 읽었습니다.
'이 리뷰는 컬처블룸을 통해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 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