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쩌면 애니메이션 속 주인공이 나일지도 몰라 - 지친 나에게 권하는 애니메이션 속 명언
이서희 지음 / 리텍콘텐츠 / 202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나마 내가 잘 아는 애니메이션으로 주제를 다뤄서 정말 좋았다.

음... 과연 내가 아는 애니메이션이 많이 들어있을까 라고 기대하며 책을 펼친다.








이서희 작가님 책은 많이 읽어서 실컷 기대감을 안고 봤다.ㅎㅎ











어린시절 날 행복하게. 뭐 대단한 것은 아니고, 그냥 소소한 행복을 주었던 것 자체가

만화영화가 아닐까 싶다. 만화영화를 상당히 많이 접하고, 보고 자랐다.

비디오도 마찬가지. 요즘 친구들은 비디오라는 개념을 잘 알겠나 싶다.

비디오로 된 만화영화를 책방겸 비디오방에서 자주 빌려보곤 했었는데...

지금은 TV도 아닌, OTT로 다운받아 보는 세상이 되었으니. 참 세상 편해졌다 싶다.


나 어릴때는 녹화하고 봤었는데...;;


중학생때까지 코스프레축제도 가보고, 투니버스도 보고... 애니메이션은 우리의 마음을 활짝 열어주는, 어쩌면 무한한 하나의 근원이지 아닐까 싶다. 순수의 세계. 순수의 창작물.











목차이다.









어렸을 때 '도라에몽'을 진짜 많이 보고, 또 많이 좋아했었다.

신기하기도 했었고.


하루는 학교에서 발명대회라는걸 했는데, 발명품을 만들어내는 것 까지는 아니고

상상력을 동원하여, 발명품을 글로 써보는 것이었다.


그때 도라에몽에서 많이 봤었던 미래의 물품중에서 하나를 착안하여 실제 사용이 가능할지에 대해 생각한다음, 현실성 있게 글로 써내렸었고, 동상이란 큰 상을 받은 적도 있다.


도라에몽은 신기하고 좋은 진구의 친구이자 고양이 로봇인데,

너무 현실성이 없어 그저 상상속에서만 존재하는 전설의 동물인 듯 하다.


솔직히 세상에는 진구같은 친구가 엄청 많이 있을텐데.

과연 그들을 도와줄 미래의 친구가 과연 있을까? 라는 생각도 해본 적 있다.


이때의 어린 나는 친구가 많이 있었던지라, 진구의 상황이. 그리고 굳이 미래에서 온 도라에몽이 진구를 도와주는 에피소드가 쉽게 와닿진 않았지만 성인이 된 지금 생각해보면

어떻게 보면 참 슬픈 내용인 듯 하다.










하울의 움직이는 성은, 솔직히 내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그렇게 재미있는 애니메이션은 아니었다. 중국어 번역으로 봐서 그런걸 수도 있는데, 뭔가 굉장히 복잡하고 허무맹랑한 복합적인 애니메이션이었다. 그냥 유명해서 봤을 뿐. 다들 무서워하는 하울은 알고보면 겁쟁이었다는 사실이 반전이었지만. 솔직히 내가 소피였다면 굉장히 슬펐을 텐데 소피라는 아이는 약해보여도 강한 아이여서 위기를 잘 극복해나갔다고 볼 수 있다.


실은 <하울의 움직이는 성>편을 굳이 넣고 싶진 않았지만, 예전에 봤었던 향수를 다시 일깨워줘서 보답 아닌 보답인 듯하게 넣어봤다. 아. 하울이 이런 얘기였구나. 하면서 말이다.











이누야샤는 몰랐다가 중3때 친구들이 하도 난리여서 알게되었는데. 뭔 요괴나오는 옛날 옛적 고리타분한 얘기를 그리들 좋아하는지 원, 이러면서 불만있는 표정으로 열심히 만화책과 투니버스 시청을 했더랬다. 확실히 재밌다. 전국시대 얘기였나. 뭐 하여튼 솔직히 스토리보다는 그 시절 복장이나 풍습을 봐서 좋았었다. 서코때는 어떤 사람 두명이 이누야샤와 나락의 퍼포먼스를 했었는데 그게 그때당시는 좀 화제가 되었었다. 


이누야샤는 너무 보다 안보다를 왔다리 갔다리해서 그냥 대략적인 내용만 알고 셋쇼마루의 가족(?) 에 대해 알고 싶은데 어떤 편을 봐야할 지 몰라 헤맸기도 하다.


또한 이누야샤 OST가 상당히 유명했었는데 그건 아직도 곧 잘 즐겨부른다.


가영이와 이누야샤의 사이가 엎치락 뒤치락 인지라 개인적으로는 로맨스를 한 스푼 첨가하면 더 좋았을지 싶다.


이리하여 계속해서 추억을 회상해보는 시간을 가져본다.








이타적 희생, 아가페적 사랑은 신기하게도 이 책에서 나름 강조하는 부분이다.

작가가 원하는 스타일인가 싶어서 한 번 실어봤다.

애니메이션은 그저 우리가 재미로 보는 만화가 아니라,

그 안에 그 나름대로의 가치관이 실려 있는 것이다.











이렇게 생각해보는 시간도 가질 수 있게

쉼을 주기도 한다.







우리는 어릴 적 다 같은 순수한 아이였다.

지금도 그 순수함을 잃지 않았는지는 모르겠지만.

어릴 때. 적어도 애니메이션에 열광했을 때 만큼은 진심이었다.


이 책은 나의 어린시절을 돌아봐주고.

추억을 회상해주며

애니메이션 하나하나에 대한 느낌과 생각을 공유할 수 있도록 인도해준다.

서평을 쓰는 건지 애니메이션에 대해 생각을 나열하는 건지 나조차도 헷갈리지만.

그래도 참 좋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