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데르센, 잔혹동화 속 문장의 기억 Andersen, Memory of sentences (양장) - 선과 악, 현실과 동화를 넘나드는 인간 본성
박예진 엮음,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 원작 / 센텐스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안데르센이라니...이런 대작을...

하지만 잔혹동화라서 좀 읽기가... 무섭다.

하지만 나는 어른이니(!!) 읽을 수 있다!


사실, 동화는 그냥 동화로만 남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굳이 뭐하러 그 안에걸 펼쳐서 무슨 판도라의 상자마냥 몰라도 되는 것을 알아야 하는걸까...

라는 생각.


잔혹동화니, 동화는 원래는 되게 잔인한 거였다더니 라는걸 인터넷에서 하도 떠들어대서 이미 내면의 내용을 알만큼은 알고 있다.


그리고 아이들에겐 좋고 선한것만 보여주고 꿈과 희망을 줄 수 있는 것들만 주어야 한다는 선입견들이 있는데... 


원래 아이들이 더 잔인하다는걸 모르는걸까.


그게 나쁜 줄 모르기에. 잔인할 줄 모르기에. 모르니까 잔인한 거다.


순자의 성악설도 있지 않은가.


물론 잔인함과 나쁘다는 것은 차이가 있긴 하지만, 아이들은 모르는 것일 뿐.

알려주면 또 착하게 변할 수도 있다고 본다.


그래서 어른이건 아이이건 할거 없이 잔혹한것도 받아 들일 수 있다는 생각이다.





안데르센은 동화책 한 권만 읽었어도 누구나 다 아는 작가인건 알고 있으니

작가 소개는 이 페이지만 봐도 되겠다.









아는 내용보다 모르는 내용 혹은 잊어버린 내용이 있어서 아는 내용 위주로 얘기해볼 까 한다.

소제목만 봐도 무언가 슬프고 무서운건 나만 그런건 아니겠지?








어제 이 책을 읽었는데. 그것도 카렌 이 페이지를.

그러고나서 자기 전 <사이코지만 괜O아> 를 봤는데, 제 2부에서 빨간구두 얘기가 나와서 개인적으론 깜짝 놀랐다.


음....?

뭔가 데스티니...? 는 당연히 아니겠고.


이 동화를 심리학적으로도 다룰 수 있겠구나! (오! 유레카!) 라는 생각...


어릴때 이 동화를 읽고 섬뜩하고 무서워했었다. 슬프지만 두번 다시 읽긴 싫었는데.

역시 이런것이 뇌리에 오랫동안 남는구나.


도대체 이 소녀가 무슨 잘못이 있길래 이런 사탄의 인형같은 저주를 내렸는가.

이 책을 보니 알겠네. 안데르센은 시대상을 반영한 것이었다.

재혼가정에. 여성 억압. 그냥 이 두 단어로 끝난다.


여성을 차별하고 멸시하고 억압하는 시대상을 담은 동화였던 것.


의문이 풀려서 너무 좋다. 오... 서양(?)도 그랬었구나. (덴마크!)

여성은 언제쯤 억압받는게 완전히 없어질련지... 솔직히 아직도 끝나지 않았다고 여겨진다.








어릴때는 15살이 무슨 굉장히 나이가 많은 줄 알았는데, 지금 보니 왜이리 코미디인지.

솔직히 15살이 뭘 안다고...


내가 말한건 어디까지나 지혜와 경험의 깊이이다.


아무것도 모르는 왕자를 청승맞게 사랑하며 눈물이나 흘릴바에야 왕자를 죽이고 원래 인어의 삶으로 돌아가는 것이 좋지 않나는 어린시절의 나와 현재의 나는 완벽히 일치한다.

난 어디까지나 인어공주 편이었으니까.


헌데 서사가 동화마다 다르긴 할텐데.

내가 봤던 동화에서는, 마녀는 그저 인어공주의 목소리만 앗아가는(?) 류 였고.

여기는 목소리 뿐만 아니라 힘과 아름다움까지 뺏어가네. 

여기있는 마녀가 더 못됐네...(풉)


어쨌든 인어공주는 죽음을 맞이하고 이걸 그냥 물거품이 되었다고 표현하기엔...

너무 드라마틱(?)하여... 어릴때부터 안데르센은 왜 걸핏하면 죽이고 슬픈게 많이 등장하지 라고 생각했었는데, 어른이 되어 봐도 별다를바가 없다.











이 때는 몰랐지. 이 동화가 엄청나게 큰 파장을 불러일으킬줄은...(물론 나에게만 한정되어.)

이 동화는 어쨌든 해피엔딩이다. 

물론 엄청난 우여곡절과 멸시와 구박등등 안좋은게 다 나타나있긴 하지만

결과적으론 난 원래부터 백조였어! 잠시 흑역사가 있었을 뿐이지. 난 백조야! 우아한 백조! 라고 외치고 있지 않은가.


그럼 오리는?


못생겼나? 글쎄? 


우리가 개천이나 호수를 보다보면, 오리가족을 자주 볼 수 있지 않나?

난 그럴때마다 굉장히 예쁘고 귀엽다고 생각했었는데...


물론 백조를 무엇에 비유할까 하여 오리라는 동물이 출몰했다치지만.


내 말은. 그냥 다 예쁘고 아름답고 존엄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동화는 그저 '외모'로 갈리는 것으로 치부하기엔 너무 낮은 평가가 된다.


난 이 동화를 '다문화' 적인 요소로 레포트를 써낸 적이 있었는데.

당연히 A+을 받았다.


우리나라도 이젠 다문화국가이다. 비단 외국 국가들의 문제만이 아니란 것이다.


이 동화는 '다름'을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어떠한 결정체로 생각해야 된다.


안데르센은 키가 185cm 였다는데, 지금 현대사회에서도 남자 키가 185cm 가 흔한 키가 아니다.

안데르센은 오히려 너무 컸기 때문에 따돌림과 멸시를 당했다는것.

현대적인 논리로서는 전혀 이해가 안가는데.

그냥 모두 다 작으니 큰 사람이 핍박받는것.


그건 현대 사회도 마찬가지 아닌가?


모두가 예 할 때 아니오 라고 하면 안되는 룰이 있듯이 말이다.


이건 반드시 외적인 요소 뿐만이 아니라 모든것을 포함하고 있을 터.


안데르센이 지금 이 시대에 태어났다면 인기남이 되어있겠지? 라는 생각도 해봤는데. 뭐 그럴수도 있겠지만(?) 안데르센은 저 시대에 태어나서 이렇게 고귀한 여러 작품을 남기지 않았을까 싶다. 물론 살아계셨을 적엔 각광을 못받았을지라도 말이다...











개인적으로 <성냥팔이 소녀>를 아주 좋아했는데.


좀 충격이었다.


소녀가 1월 1일이 되기 전 성냥을 다 팔아야 집에 갈 수 있었는데. 솔직히 누가 성냥을 사주겠나. 그냥 거들떠도 안보고 다 제 길가기 바쁘지.

그런데 바로 앞이 집안에 있는 가족이 너무 서로 다정해 보이고 맛있는 음식을 먹고 있는 거였다. 그래서 이 소녀는 너무 배도 고프고 춥고 힘겨워해서 성냥 하나를 그어 불을 피웠는데 그 불안에서 자기가 부모에게 사랑받는 모습이 보이고, 성냥이 식으면 또 다른 성냥하나를 그어 그 불안에서 맛있는 음식이 보이고 등등 이렇게 해서 추위도 나고 자신이 좋아하는 그림을 상상하며 있었는데 그게 다 환각증세라니!!!


그 당시(현실적으로) 성냥의 원재료가 독성물질이라니.....헙.



어린 소녀에게 성냥팔이를 하라는 (앵벌이?) 시대상이 반영되어있었다는 충격적인...

이것도 현대와 다르진 않은데 지금 많이 개선되긴 했다지만 우리가 알게 모르는

음지의 일이 지금 현재 돌아가는 시점에도 진행되고 있다는 점...!


여전히 슬프구나. 너란 성냥팔이 소녀는.






안데르센 작가는 너무 슬프게 살았네.

작가의 글을 보면 이 작가의 생각을 알 수 있는 거잖아.

그냥 한 평생 우울에 허우적대며 살았을 수도.


하지만 작품은 또 엄청나기에 모든 사람들이 좋아하는 걸지도.



책은 재밌으나 한 가지 아쉬웠던 점은 뜬금없이 영어원고를 중간중간 넣었는데.

앞에 써내려간 글하고 연결이 안되어 좀 혼란스러웠다.


그냥 줄거리로만 주욱 써내려 나가든가 아님 영어 원고만 넣던가

아님 중간에 끼워 넣지 말고 줄거리를 먼저 쓴다음 영어 원고를 그 밑에 첨부하면 어떨까

라는 생각이다.


왜 이렇게 나열한거지? 라는 의문점이 든다.




책은 굉장히 예쁘고, 또 본인의 생각을 쓸 수 있는 공간도 마련해주고

영어로도 읽을 수 있어 뜻깊었다.

그리고 어린시절의 생각과, 현재의 생각을 교류하며 공감할 수 있어서 좋다.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